이진복 “인턴으론 안 돼… ‘준비된 시장’이 부산 이끌어야” [직격 인터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민의힘 이진복 후보

이진복 국민의힘 부산시장 보궐선거 예비후보는 “낡은 벽을 쇠망치로 부수듯 부산을 싹 다 바꾸겠다”고 공언했다. 강원태 기자 wkang@

이진복 국민의힘 부산시장 보궐선거 예비후보는 지역 정가에서는 입지전적인 인물로 통한다. 20대 초반에 박관용 전 국회의장의 선거 참모로 정치에 뛰어든 뒤 40년에 걸쳐 운동화 밑창이 닳도록 바닥을 누비며 청와대 행정관, 동래구청장, 3선 국회의원, 국회 정무위원장 등을 지냈다. 다른 어느 후보보다 부산의 위기에 대해 깊이 고민해 왔고, 대안을 만들기 위해 공부해 왔다고 자부한다. 하지만 ‘동래의 이진복’이라는 별명처럼 지역구를 넘어서서는 정치적 중량감만큼의 파괴력을 보여 주지는 못하고 있다. 이 후보는 “나는 저평가 우량주다. 앞으로 부산 전역에 ‘이진복 바람’이 몰아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후보는 “인지도가 높다고 무조건 선거에서 이기는 것은 아니다. 부산시장에 당선되면 별도 준비기간 없이 바로 시정을 시작해야 하는데 ‘인턴 시장’으로는 안 된다. 나는 부산에서 구청장 1번, 국회의원 3선 등 16년을 일했다. 그만큼 밑바닥 조직이 탄탄하다는 얘기다. 최종 후보에 오를 자신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의 자신감의 원천은 그가 지역에 오래 천착해 온 ‘준비된 시장감’이자, 각계각층을 아우를 수 있는 ‘통합의 리더십’을 갖췄다는 점에 기인한다. 실제 이 후보는 이번 선거 준비를 위해 40·50대 대학교수 200여 명이 참여하는 매머드 정책자문단을 꾸렸고, 청년사업가와 전문가 그룹 등 모두 500여 명이 캠프 안팎에 포진하며 그를 지원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그는 매주 한 차례 굵직한 공약을 발표하며 앞장서서 ‘정책 대결’을 이끌고 있다.

靑 행정관·구청장·3선 국회의원
40년간 밑창 닳도록 바닥 누벼
통합리더십으로 올 뉴 부산 조성
어느 후보보다 본선 경쟁력 우수
시간 지날수록 지지도 급등할 것

이 후보는 “‘체인지, 올 뉴 부산(CHANGE, ALL NEW BUSAN)’을 기치로 낡은 벽을 쇠망치로 부수듯 부산을 싹 다 바꾸겠다”고 공언했다. 과거의 관점과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완전히 새로운 방법으로 접근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부산의 산업구조를 바꿔 연구·개발(R&D) 첨단 산업 유치로 강소기업을 육성해 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만들겠다. 또 부산의 밤바다를 살린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크루즈 여행, 패키지 관광의 중심지로 만들겠다. 1호 공약으로 남항 앞바다를 매립해 ‘스마트 신시티’를 조성하겠다고 한 것도 미래먹거리 창출과 부산을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중심지 지원특별법과 해양수도특별법 제정을 통해 부산을 세계적인 금융·해양 허브로 만들고, 블록체인 성지로 불리는 스위스 추크시의 ‘크립토밸리’와 같이 부산을 블록체인화된 물류와 탈중앙화 금융성지로 만들어 외국기업을 유치하고 청년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발표된 국민의힘 시장 후보 적합도에서 박민식 후보와 3·4위를 다투고 있다. 당장 당내 예비경선 통과에 사활을 걸어야 할 만큼 상황이 녹록지 않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현재 인지도 중심의 지지도 조사에는 크게 연연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이 후보는 “캠프 내부 분석 자료를 보면,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는 등 상당히 고무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격적인 선거운동은 이제부터로, 지지도 반등 등 변화가 분명히 나타날 것이다. 행정경험과 경륜을 갖추고 무엇보다 도덕적 흠결이 없어야 확장성이 있다. 시민들이 이런 부분을 인식하게 되면 어느 후보보다 본선경쟁력이 뛰어나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당원 50%·일반 시민 50%’의 경선 룰을 본경선에 적용시켜 줄 것을 당에 촉구하고 있다. 또 박민식 후보와의 단일화 논의에 대해서도 여지를 남겨 놓았다.

그러면서 여야 경쟁후보들을 향한 비난의 수위를 한층 높이기도 했다. 그는 “실패한 정권의 실세면서 지난 총선 참패에 책임이 있는 인물, 시정을 아예 내팽개치고 자신의 영달을 위해 부산시장에 출마한 이들, 이번 보선의 원인 제공자면서도 당헌까지 바꾸어 나선 이들에 대한 냉철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