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년 된 영국 대학이 한국에 남긴 ‘유령’ 기숙사…교훈은?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나라살림연구소, 하동군의 영국대학 유치 잔혹사 '참 나쁜 예산' 사례로 소개
“해양플랜트 인재 육성 꿈 사라지고 80억 들인 기숙사 운영·관리비만 지출”

자료: 애버딘대학교 홈페이지(https://www.abdn.ac.uk/). 나라살림연구소 제공 자료: 애버딘대학교 홈페이지(https://www.abdn.ac.uk/). 나라살림연구소 제공

“그 당시 애버딘대학교가 온다고 응원 플랭카드를 얼마나 많이 달았습니까? 우리 군민들 흥분을 시켰어요. 결국은 우롱했습니다. 정말 죄책감을 갖고 공무원들 자세가 달라져야 합니다.”(신재범 하동군의원)

2020년 9월 16일 오전 10시 25분 경남 하동군의회 회의실. 4년 전 만장일치, 일사천리로 의회를 통과했던 조례안이 이름을 갈아입는 순간이었다. 바뀐 이름은 ‘하동군 해양플랜트 연구단지 기숙사 및 게스트하우스 관리·운영 조례’. 이전 이름은 ‘애버딘대학교 한국캠퍼스 기숙사 및 게스트하우스 설치⋅운영 조례’다.

나라살림연구소가 경남 하동군의 영국대학 유치 잔혹사를 <400년 된 영국 대학이 한국에 남긴 ‘유령’ 기숙사>란 제목으로 '참 나쁜 예산' 사례로 상세히 소개해 눈길을 끈다.

■장밋빛 꿈에 기숙사·본관동 건립 등 행정절차 ‘일사천리’

나라살림연구소에 따르면 애버딘대학교는 영국 스코틀랜드에 위치한 대학교로 영어권 국가 대학 중에서 다섯 번째로 오래됐다. 경남도와 하동군, 국내 조선소 등은 2013년 애버딘대학교와 협력을 맺고 하동에 국제 해양플랜트 대학원 대학교를 설립하기로 했다.

그 즈음 언론 보도를 종합해보면 애버딘은 영국 해양플랜트 관련 기업 본사가 171개나 밀집한 해양플랜트 중심도시다. 애버딘대학교는 애버딘에 위치한 해양플랜트 분야 1위 대학으로 주목받았다.

애버딘대학교 한국캠퍼스를 국내에 설립하면 해양플랜트 및 심해저 연구개발 기업과 연구단체들 연합체인 Subsea UK와 협업도 순조로울 것으로 봤다. 이를 통해 국내 조선업계 약점으로 꼽혔던 해양플랜트 분야의 인력 및 기술력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었다.

장미빛 기대를 품고 경남도와 하동군, 조선사 등은 애버딘대학교와 2013년 3월 애버딘대 한국캠퍼스 유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듬해 10월 브라이언 맥그리거 애버딘대 부총장과 당시 홍준표 경남지사, 여상규 국회의원, 윤상기 하동군수, 조선사 임원 등이 참석한 애버딘대 유치⋅설립⋅운영 등에 관한 산⋅관⋅학 협력을 약속하는 행사도 열렸다.

하동군은 곧바로 행정절차에 돌입했다. 2014년 갈사산업단지 해양플랜트 종합시험연구원 안에 기숙사 부지를 확정했다. 2015년 기숙사 실시설계 및 착공, 2016년 준공까지 신속하게 관련 절차를 마무리지었다. 강의를 위한 본관 및 시험 등을 위한 건물은 부지 안의 해양플랜트 종합시험연구원 건물을 함께 쓰기로 했다.

기숙사 건립에 든 비용은 총 79억 원. 경남도와 하동군이 예산의 절반을 각각 담당하기로 했다. 하지만 경남도가 계획보다 10억 원이 감소한 30억 원을 지출하면서 하동군 지출이 49억 원으로 늘었다.

애버딘대학교 한국캠퍼스가 연계해 사용하기로 한 본관동과 시험동 건립에 든 예산은 총 952억 원으로, 국비 507억 원, 도비 98억 원, 군비 197억 원이 지출됐다. 부산과 울산 등에서 20억 원씩을 지출했고 융자 110억 원도 포함됐다.

2015년에는 마침내 해양플랜트 종합시험연구원 본관동 등 건물이 준공됐다. 2016년에는 에버딘대학교 학생과 교직원을 위한 기숙사 건물도 준공됐다. 같은 해 8월 교육부는 현지 실사를 거쳐 애버딘대 한국캠퍼스 설립을 조건부로 승인했다.

■물거품된 애버딘대 한국캠퍼스…“유치 무산 대비책 양해각서에 포함됐어야”

하지만, 순조롭게 흘러가는 것처럼 보였던 사업임에도 2021년 현재 경남 하동에는 애버딘대 한국캠퍼스가 없다.

2016년 9월부터 개교를 네 차례나 미룬 애버딘대학교 한국캠퍼스는 2018년 결국 개교가 취소됐다. 사업이 무산된 것이다.

애버딘대 측은 2016년부터 시작된 조선업 경기 불황으로 학생 모집이 어렵다는 이유를 들었다. 세계적인 해양플랜트 인력 공급 중심이 될 줄 알았던 경남과 하동군의 장밋빛 꿈도 물거품으로 사라졌다.

경남도와 하동군은 2021년 현재 애버딘대와 소송전을 벌이고 있다. 애버딘대 한국캠퍼스 설립에 투자한 비용을 회수하기 위해서다. 경남도가 내세운 회수 비용은 91억 원. 기숙사 건립비용과 설립준비비용 12억 원이 포함됐다. 학교 본관동 설립을 위해 투자한 952억 원은 포함되지 않았다.

2017년부터 4년 간 애버딘대학교 한국캠퍼스 초기 운영비로 지원하기로 했던 72억 원도 물거품이 됐다.

첫 해 하동군 예산에 잡혔던 18억 원 중 국비 9억 원, 도비 4억 5000만 원은 전부 반납했다.

하동군에는 또 하나 고민거리가 남았다. 애버딘대가 사용하기로 했던 건물들이다. 강의와 시험을 위한 본관동과 시험동, 5층 규모 72인 수용이 가능한 애버딘대 기숙사 건물이 골칫거리다.

본관동 시험동 등은 당초 목적인 해양플랜트 종합시험연구원 본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관동은 총 3층 중 1개 층(2층)을 부산대에서 사용한다. 문제는 기숙사 건물이다. 애버딘대학교 한국캠퍼스가 무산되면서 학생 교직원을 위한 기숙사도 무용지물이 되었다.

기숙사 운영비는 오롯이 하동군이 떠맡았다. 2018~2021년 하동군 예산서를 보면 하동군은 기숙사 운영비로 매년 1억~1억 4000만 원을 사용할 예정이다. 기숙사는 산업단지 내에 세워진 교육연구시설이라 일반 관광용 게스트하우스로 용도 변환(전환)도 쉽지 않다.

애버딘대 유치가 무산되고 2년이 지난 2020년 10월에 하동군은 조례에서 ‘애버딘대학교 한국캠퍼스’를 지웠다.

기존 애버딘대 학생과 교수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던 조건을 풀고 인근 산업단지 입주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조례를 개정한 것이다.

하지만 이 역시도 미봉책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산업단지 분양 역시 순조롭지 않은 상황 탓이다.

나라살림연구소 김유리 책임연구원은 “2013년 3월, 하동군은 MOU를 체결하며 영국 유명대학교의 한국캠퍼스 유치를 꿈꿨다. 하지만 현실은 용도를 잃은 80억 원 짜리 건물 하나와 매몰비용이 되어버린 투자비, 경남도와 함께하고 있는 애버딘대 상대 법정소송비용, 그리고 우롱당한 군민이 남았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조선업 경기 불황은 예상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애버딘대 한국캠퍼스 유치 무산에 대한 대비책은 양해각서에 포함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또 하동군이 홈페이에 결산서 자료 일체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