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학교 폐교=지역 황폐화” 교사·학부모·주민 ‘한목소리’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학교 폐교를 지켜본 부산 지역 주민 대부분은 ‘폐교=지역 황폐화’ 현상을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 전문가와 학부모도 소규모 학교 폐교가 지역 황폐화의 지름길이 될 수 있다는 데 공감한 것이다. 주민과 교사·학부모 모두 폐교로 인한 젊은층 유출→상권 축소→빈집 증가의 악순환을 우려했다.

와 부경대 지방분권발전연구소는 지난달부터 이달 중순까지 부산 지역 교사·학부모·학계 전문가·활동가·지방의원 등 71명과 동구·영도구·중구 등 원도심 18세 이상 주민 300명을 대상으로 ‘소규모 학교 통폐합에 대한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설문 조사는 전화 면접 조사와 온라인 여론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본보 ‘학교 통폐합 인식조사’
젊은층 유출 등 악순환 ‘공감’

조사 결과, 교사와 학부모 등의 62%는 “소규모 학교 폐교로 인한 지역 황폐화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이는 “지역 황폐화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38%)에 비해 1.6배가량 높은 수치다. 현장에서 소규모 학교 폐교를 지켜본 주민의 과반도 “폐교는 곧 지역 황폐화”라는 의견을 냈다. 지역 주민 300명 중 59.3%가 소규모 학교 폐교로 인한 지역 황폐화 현상에 동의했다. “황폐화 현상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28%)보다 배 이상 높았다.

학교가 문을 닫으면서 ‘지역 공동화’ 우려도 나왔다. 폐교에 따른 변화 2가지를 묻는 설문에 교사와 학부모 등의 74.6%가 ‘젊은 인구(30~40대) 유출’을 가장 많이 꼽았고, ‘학령 인구(7~19세) 유출’이 63.4%로 뒤를 이었다. 또 ‘상권 축소’와 ‘빈집 증가’ 의견도 각각 25.4%와 12.7%를 기록했다.

지역 주민과 교사·학부모 집단은 “폐교 상황에 대한 교육 당국의 설명이 부족했다”고 짚었다. 지역의 폐교 위기 학교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폐교 상황에 대해 교육당국이 설명했는지를 묻는 문항에서 주민 63.3%가 “그렇지 않았다”고 답했다. 교육 당국의 설명이 충분했다는 취지의 긍정적인 응답은 30.9%에 그쳐 부정적인 응답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교사·학부모 등의 64.5%도 “폐교 상황에 대한 교육 당국의 설명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곽진석·황석하 기자 kwak@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