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에도, 휠체어에도 탑재… 전기차 폐배터리 ‘제2의 삶’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폐배터리 처리 현장 가 보니

전기차 수요가 늘어나면서 탑재된 배터리 사후 처리를 놓고 업체들마다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전기차의 폐배터리는 화학물질로 구성돼 있어 매립·소각시 환경오염이나 화재 위험이 있다. 이 같은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곳이 있다. 바로 제주 아라동 제주첨단과학단지 내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다. 제주테크노파크(JTP) 에너지융합센터에서 운영한다. 지난 2019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만들어진 ‘사용 후 전기차 배터리 전주기 체계’ 구축 센터로, 회수된 배터리의 성능을 평가하고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제주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
‘전기차 성지’ 걸맞은 처리 시설
회수·성능 검사·재활용 관리
전력용량 70% 이상은 재사용
에너지저장장치로 다용도 활용



제주에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센터가 만들어진 건 우연이 아니다. 제주도는 청정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전기차 상용화 초기부터 전국에서 가장 먼저 보급을 확대해 국내 전기차 보급률 1위다. 보급과 재활용 등 전기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 ‘한국의 전기차 성지’로 불린다.

지난 4일 제주에서 열린 ‘제9회 국제전기차엑스포(IEVE)’에 들른 뒤 이곳을 찾았다. 이 센터는 대지면적이 2457㎡(743평)로, 입구에는 현대차 ‘아이오닉’, 기아 ‘포터 일렉트릭’ 등의 전기차에 사용됐던 가로·세로 1~2m의 폐배터리 패키지가 땅바닥과 보관창고에 쌓여있다. 사고 등으로 폐차된 차들의 배터리 패키지들이다. 이어 센터 안으로 들어가니 패키지를 모듈과 셀단위로 나눈 분해장이 있다.

이곳에서 성능평가를 진행한 뒤 재사용과 재제조를 거쳐 공공용으로 활용하거나 민간에 매각한다. 회수된 배터리 팩은 먼저 ‘배터리 감별’ 검사(외형 검사)를 거친다. 여기서 통과한 배터리 팩은 팩 검사실로 이동해 성능평가를 진행한다. 성능평가 결과 70% 이상의 전력 용량이 남은 배터리는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활용된다. 하지만 50~60% 수준의 전력 용량이 남은 배터리는 재사용이 불가능해 폐기한다. 다만 배터리의 주재료인 리튬과 코발트, 니켈, 구리 등은 추출해서 재활용된다.

이 센터 이동훈 활용기술개발팀장은 “지금까지 회수된 전기차 배터리는 250개 정도이며, 앞으로 배터리 보관용량을 400개로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가 활용되는 범위는 다양하다. 실제로 제주에선 민간용으로 따릉이(무인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와 전동 휠체어, 농업용 고소차량(높은 곳 작업차량) 등으로, 공공용으로는 신재생에너지와 공공시설, 가정·사무용 연계형 ESS 시설 등으로 각각 활용되고 있다. 특히 폐배터리는 50kW급 이동형·농업용 농기계에 탑재돼 제주지역 감귤 농장에 요긴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어 센터 바로 옆에 위치한 ESS가 있는 전기차 충전시설로 이동했다. 컨테이너 1개 정도 크기에 28개의 전기차 배터리팩을 재활용한 것으로, 이 센터에 쓰이는 전기도 이곳에서 공급받고 있다. 제주 지역외에서도 폐배터리팩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듯했다.

이동훈 팀장은 “제주테크노파크에서 추진하고 있는 시험검사체계 구축,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유통·관리의 전주기 체계 운영은 향후 제주는 물론이고 다른 지역에서도 다양한 분야로 적용돼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