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동강 녹조 비상, 새 정부 식수원 대책 뭔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때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최근 부산시민의 식수원인 낙동강에 녹조가 창궐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경남 물금·매리 지점에서 검출된 유해 남조류 세포 수(cells/mL) 평균은 4만 5033개로, 지난해 6월보다는 7배, 2020년 6월보다는 무려 29배나 폭증했다. 더구나 현재 낙동강 상태는 예년의 녹조 절정기를 벌써 넘어선 수준이라고 한다. 당장 부산시민의 식수 공급이 영향을 받지 않을까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 무더위 극성기인 8월 전후의 상태가 고비라고 하는데, 부산시민이 언제까지 매번 이러한 고통을 당해야 하는지 안 그래도 푹푹 찌는 날씨에 ‘녹조 식수원’이 짜증을 더한다.

폭염 등으로 2년 전보다 29배나 폭증
부산 식수 공급마저 위험… 시민 불안

지금 낙동강 녹조는 상·하류를 가리지 않고 전역에 걸쳐 퍼져 있다. 부산의 식수원인 물금·매리 지점뿐만 아니라 경북 내륙의 상류 지역에도 녹조가 확산해 있는 지경이다. 이미 지난달 13일부터 이 지역에도 ‘관심’ 경보가 발령됐다. 하류인 물금·매리 유역은 올해 5월부터 벌써 ‘관심’ 경보가 발령됐고, 지난달 20일부터는 ‘경계’로 강화됐다. 문제는 낙동강 녹조가 갈수록 더 심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올해는 마른장마와 예년보다 훨씬 일찍 시작된 폭염으로 녹조 확산에 매우 유리한 환경이 조성돼 있다. 연례적인 녹조로 생각해서는 안 되는 상황이다. 최악의 경우 부산의 식수 공급이 차질을 빚을 수도 있는 일이다.

부산시민에게 낙동강의 수질은 바로 식수 공급과 직결돼 있다. 여름철 낙동강 녹조 얘기만 나와도 시민의 가슴이 철렁해지는 이유다. 이 때문에 깨끗하고 안전한 식수원 확보는 부산의 오랜 염원이다. 부산이 물 문제에 특히 예민할 수밖에 없는 배경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직 뾰족한 해결책은 보이지 않으니, 시민의 답답함이야 말할 수가 없다. 그나마 최근 정부가 부산의 식수 확보를 위해 경남 합천 황강의 복류수와 창녕의 강변여과수를 개발해 부산과 동부 경남으로 공급하는 102km의 취수 관로를 놓기로 한 것은 고무적이다. 이번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2025년 착공 예정이라고 하니, 차질이 있어선 안 되겠다.

합천 황강과 창녕의 물 공급이 큰 도움이야 되겠지만, 부산의 식수원 대책이 이것으로 완결된 것은 결코 아니다. 예상한 대로 이 사업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의 반발이 거세다. 근본적으로 낙동강의 수질을 이대로 놔둘 수는 없다. 환경단체는 낙동강의 심각한 녹조 해결을 위해 수문 개방과 보 해체로 수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국은 종합적인 낙동강 물관리 대책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데, 새 정부가 식수원 정책으로 대답해야 할 사안이다. 민선 8기 부산시도 새 정부에 적극적으로 이를 촉구해야 한다. 부산시민이 겪는 식수원 고통을 안다면 새 정부도, 부산시도 이제는 근본 대책을 내놔야 할 때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