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년간 해양 바이오 집중 육성… 산업 규모·고용 늘린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양 바이오 신성장 전략’ 발표
산업 규모 1조 원대 확대 추진
기초 소재·표준화 기술 개발
R&D 투자·인프라 구축 등 지원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27일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브리핑실에서 ‘해양 바이오산업 신성장 전략’ 발표를 마친 뒤 해양 바이오수소 생산 플랜트 모형을 살피고 있다. 해수부 제공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27일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브리핑실에서 ‘해양 바이오산업 신성장 전략’ 발표를 마친 뒤 해양 바이오수소 생산 플랜트 모형을 살피고 있다. 해수부 제공


정부가 해양 바이오산업 집중 육성을 통해 5년 후인 2027년까지 국내 해양 바이오 시장 규모를 1조 2000억 원으로 키우고, 해양 바이오를 통한 고용 규모도 1만 300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28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이 담긴 ‘해양 바이오산업 신성장 전략’(2022~2027)을 발표했다.

해양 바이오산업은 해양생물에서 바이오 소재를 개발해 식량·에너지·산업 소재·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이다. 글로벌 해양 바이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 5년 후인 2027년에는 현재의 1.6배인 11조 원 이상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며, 국내 시장도 매년 약 8%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실제 국내 해양 바이오 시장은 2016년 매출액 4787억 원, 종사자 수 2366명, 기업 수 358개에서 2020년 매출액 6405억 원, 종사자 4429명, 기업수 407개로 성장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해양 바이오산업에 진출한 기업들 대부분이 영세한데다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도 상대적으로 미흡해 제반 인프라·인력·투자·기술 수준 등이 크게 미비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해양 바이오 기술 수준은 미국의 약 75%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해수부는 해양 바이오 산업 육성 과제로 △기초소재 개발 및 고도화 △대량 생산 및 표준화 기술 개발 △상용화 기반 조성을 위한 융·복합 R&D 확대 △해양 바이오 투자 확대 △해양 바이오 빅데이터 및 산업지원 플랫폼 구축 △해양생명자원 조사·개발 확대 △권역별 해양 바이오 클러스터 및 인프라 구축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해수부는 신성장 전략을 통해 해양 바이오산업의 시장 규모와 고용 규모를 늘려 해양 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해양 바이오산업의 성공은 핵심 기술 보유 여부가 좌우하는 만큼 해수부는 일단 핵심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기로 했다. 해양자원 4000여 종을 분석해 항암 등 기초소재를 확보하고 주요 소재 국산화 개발에 돌입한다. 이를 통해 30%에 불과한 해양 바이오 소재의 국산화율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또 유전체 분석·합성생물학 기반 연구를 확대하고 기업과 공동으로 바이오 파운드리를 조성해 상용화도 촉진한다. 바이오 파운드리는 합성생물학의 모든 과정을 표준화·자동화·고속화한 시스템을 말한다. 아울러 해양 바이오 선순환의 산업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한 권역별 해양 바이오 클러스터(해양 바이오 특성화 거점)도 조성한다. 거점별로 보면 남해권은 기초소재 대량 생산, 동해권은 의료헬스, 서남해권은 해조류 기반, 중부권은 유용 산업소재가 핵심이 된다.

이와 함께 해양 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를 현재 630억 원에서 2027년 1000억 원 수준으로 확대하고 정부·민관 공동 펀드를 조성한다. 해양 바이오 뱅크를 확대하는 동시에 해양 바이오 데이터 센터도 구축한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2018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는 해양 바이오 뱅크는 해양 바이오소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 기관, 대학 등을 위해 산업화할 수 있는 유용한 소재를 발굴해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수부는 기업활동 지원을 위해서는 해양 바이오 규제 태스크포스(TF)를 즉시 구성하고 산업 전 단계에 걸쳐 관련 규제를 발굴 정비할 예정이다. 또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관련 교육을 전담하는 인력양성센터도 조성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근간으로 삼아 해양 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개발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