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곳곳 산사태 불안 고개, 현장 점검 급하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취약지역 많아 예찰 활동 강화해야
사각지대 없도록 만반의 대비 필요

지난 17일 윤석열 대통령이 경북 예천군 감천면 벌방리 산사태 피해 현장을 찾아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7일 윤석열 대통령이 경북 예천군 감천면 벌방리 산사태 피해 현장을 찾아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달 6일부터 이어진 장마철 집중호우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산사태 위기경보의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가 발령된 상태다. 지난 16일 이뤄진 산림청의 전국에 걸친 최고 단계 발령은 사상 처음이다. 전국에 기록적인 폭우로 지반이 매우 약해진 곳이 급증한 상황에서 주말까지 많은 비가 예상돼 산사태가 무더기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서다. 이 때문에 평지보다 산지가 훨씬 많은 부산 곳곳에서도 산사태가 우려되면서 비상이 걸렸다. 부산은 며칠째 호우경보가 내려진 데 이어 19~20일과 주말에도 큰비가 올 것으로 예보됐다. 따라서 산사태 우려 지역을 중심으로 한 현장 점검 강화를 비롯, 철저한 안전 대비책이 필요하다.

지난 13일부터 18일 낮까지 내린 장맛비에 따른 부산의 누적 강수량은 318.3mm로 상당히 많은 편이다. 같은 기간 16개 구·군에서도 각각 200~300mm를 크게 웃도는 비가 내렸다. 이런 가운데 지역 곳곳에서 토사 유출과 옹벽 붕괴 사고가 잇따라 시민들의 불안감을 키운다. 16일에는 부산진구 초읍동 한 공사장에서 토사가 다량 유출돼 인근 주민 44명이 임시 거처로 대피하기도 했다. 이는 땅이 빗물을 잔뜩 머금어 많이 연약해져 있다는 증거다. 산을 개발한 고지대나 경사가 심한 곳에 위치한 주택가와 아파트가 많고, 이곳 주택가에는 오래되고 낡은 집이 수두룩한 부산이기에 만반의 대비 태세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더욱이 부산은 산림청과 부산시가 특별히 지정해 관리하는 산사태 취약지역이 여느 도시보다 많은 반면 산사태 방지사업이 이뤄지지 않은 곳도 상당해 불안하기 짝이 없다. 현재 부산의 산사태 취약지역은 모두 377곳으로 4000여 명이 살고 있다. 지금까지 매년 취약지역 20~30곳에서 사방시설 설치 등 산사태 예방을 위한 공사가 진행됐지만, 190여 곳은 여전히 예산 부족 등으로 아무런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 대형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정부와 시의 조속한 방지사업 추진이 절실하다. 지금 당장은 폭우 피해에 대비해 모든 취약지역에 대한 예찰 활동을 철저히 하면서 문제점이 보이면 보완하는 게 시급하다.

부산시와 일선 구·군은 2019년 10월 3일 사하구 구평동에서 시민 4명이 토사에 매몰돼 사망한 산사태를 기억할 일이다. 이 같은 참사가 재발하는 걸 막으려면 붕괴나 침수 우려가 있는데도 무시된 사각지대와 미처 보강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채 수해 위험에 노출된 곳은 없는지 꼼꼼하게 살펴야 할 것이다. 이번 장마에 12명이 숨지고 5명이 실종된 경북 예천의 대규모 산사태가 당국이 관리하는 취약지역에 속하지 않은 마을에서 잇따랐던 만큼 공무원들과 시민들의 경각심이 요구된다. 만일 산사태가 발생할 경우 신속히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매뉴얼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과하다 싶을 정도의 안전 의식만이 수재를 피할 수 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