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 하락에 작년 가구당 순자산 사상 첫 감소

황상욱 기자 eye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지난해 부동산 가격 하락 영향으로 가구당 순자산(금융자산+비금융자산)이 사상 처음으로 줄었다. 경제주체들이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도 2.2% 늘어나는 데 그쳐 통계 편제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2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사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5억 2071만 원으로 추정됐다. 2021년 말(5억 4301만 원) 보다 4.1% 줄었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만을 따로 추계하지 않기 때문에 이 가구당 순자산액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 1237조 원)을 추계 가구수로 나눈 값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전년보다 2.8%(317조 8000억 원) 감소했다. 전체와 가구당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이 감소한 것은 제도 부문별 순자산 편제가 시작된 2008년 이후 처음이다.

자산 종류별로는 1년 사이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302조 7000억 원 감소했고, 금융 순자산도 15조 1000억 원 줄었다. 현금·예금이 151조 4000억 원 증가했으나 주가 하락 등으로 지분증권·투자펀드가 151조 8000억 원 감소한 영향이다.

작년 말 기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구성 비중을 보면 △주택 5728조 원(51.0%) △주택 이외 부동산 2651조 원(23.6%) △현금·예금 2290조 원(20.4%) △보험 등 1545조 원(13.8%) △지분증권 등 982조 원(8.7%) 순이었다.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이 가계 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75.2%에서 지난해 74.6%로 축소됐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뿐 아니라 금융·비금융법인, 일반정부의 순자산을 모두 더한 '국민순자산'은 지난해 말 2경 380조 원에 이르렀다. 1년 전(2021년 말)보다 441조 5000억 원(2.2%) 늘어 역대 최대를 경신했지만, 증가율(2.2%) 자체는 지난 2008년 통계 편제 이후 가장 낮았다.

국민순자산 규모는 명목 국내총생산(2162조 원)의 약 9.4배로, 배수가 전년(9.6배)보다 낮아졌다. 국민순자산 증가율(2.2%)이 명목 GDP 증가율(3.9%)을 밑돈 탓이다. 국민순자산 증가 폭이 둔화한 것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비금융자산의 명목보유손익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국민순자산의 증감 요인을 보면 자산순취득(거래요인)은 2021년 325조 9000억 원에서 지난해 275조 5000억 원으로 소폭 축소되는 데 그쳤다. 그러나 거래 외 증감에서 '명목보유손익'이 2021년 1357조 5000억 원 이익에서 74조 3000억 원 손실로 전환했다. 명목보유손익이 손실을 나타낸 것은 1998년(-140조 2000억 원) 이후 처음이다.

한은 김민수 경제통계국 국민대차대조표(B/S) 팀장은 "지난해 거래 요인에 해당하는 자산순취득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자산가격이 하락하면서 명목보유손익이 큰 폭의 이익에서 손실전환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부동산 자산(1경 4710조 원)은 1년 전보다 34조 9000억 원 감소하면서, 전체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77.1%에서 지난해 75.8%로 줄었다.

주택가격 하락으로 지난해 전체 주택 시가총액(6209조 원)이 1년 전보다 342조 8000억 원(5.2%) 줄어든 탓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배율도 1년 새 3.1배에서 2.9배로 낮아졌다. 건물을 뺀 토지만 보면 토지자산은 1.1% 감소하면서 작년 말 토지 자산의 GDP 대비 배율(4.9배)도 전년(5.1배)보다 하락했다.

지난해 전체 비금융자산 가격은 0.4% 하락했다. 비금융자산 가격이 하락한 것 역시 1998년(-4.1%) 이후 처음이다.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건설자산 가격 상승률이 큰 폭으로 둔화한(+8.2%→+1.1%) 가운데 토지가격이 하락전환(+8.1%→-2.2%)한 영향이다.


황상욱 기자 eye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