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코인’ 파문 확산… 민주, 또 도덕성 타격에 ‘당혹’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돈 봉투 의혹’ 부실 대응 논란 속
당내서 “직접 조사해야” 목소리
“이해충돌 문제 될 수 있다” 지적도
친명계 “검소한 게 죄인가” 감싸기
지도부, 공개 언급 없이 고심 중

국민의힘 전주혜(왼쪽) 원내대변인과 지성호 원내부대표가 8일 국회 의안과에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 징계안을 제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전주혜(왼쪽) 원내대변인과 지성호 원내부대표가 8일 국회 의안과에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 징계안을 제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의 ‘코인 투자’ 의혹 파문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으로 위기에 몰린 민주당은 또 다시 불거진 ‘도덕성’ 문제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친명(친이재명) 강경파에선 김 의원을 적극적으로 감싸는 주장을 내놓아 논란이 커졌다.

김 의원의 코인 투자 논란과 관련 8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는 공개 언급이 나오지 않았다. 재산등록 누락 논란에서 이해충돌 법안 발의, ‘서민 코스프레’까지 다양한 논란이 제기됐지만 지도부의 공식 대응은 나오지 않았다.

당내에서는 당이 직접 조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이 ‘부실 대응’ 논란을 부른 만큼 이번에는 ‘적극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취지다.

김민석 정책위의장은 이날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돈 봉투 의혹과) 케이스가 다르다”면서 “김 의원의 경우는 특정이 돼 있고 본인도 실명 거래했다고 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명하게 정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그러나 당의 자체 조사 시기에 대해 “검찰에서 빨리 수사를 해서 근거가 좀 더 명료하게 있다고 진행이 되면 그에 따라서 (당이) 대응하고 처리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당내에선 “곤혹스럽다”는 반응이 나온다. 이상민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김 의원의 코인 투자 논란에 대해 “상당히 곤혹스럽다”면서 “60억이라고 하면 굉장히 큰 규모인데 왜 공직자 재산등록에 그게 빠져 있는지 지금도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이해충돌’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현근택 민주연구원 부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김 의원의 ‘이해충돌’ 논란에 대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현 부원장은 “다주택자 과세 유예(법안)를 다주택자가 발의했다면 (이해) 충돌 문제가 생긴다”고 말했다.

그러나 친명계에선 “검소하게 사는 것이 죄인가”라는 반응이 나왔다. 친명 강경파로 분류되는 장경태 최고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 인터뷰에서 김 의원이 ‘찢어진 운동화’ 등으로 ‘서민 코스프레’를 했다는 지적에 대해 “가진 것은 죄가 안 되는데 검소하게 사는 것은 죄가 되느냐”고 말했다. 장 최고위원은 “김 의원이 정말 찢어진 운동화를 신고 다녔다”면서 “다른 의원들은 (코인을) 안 갖고 있겠느냐”고 말했다. 장 최고위원은 “불특정 다수에 대한 법안은 이해충돌 대상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친명 강경파에서 적극 ‘방어’에 나선 가운데 김 의원은 “아무리 생각해도 ‘서민 코스프레’ 했다는 비판에는 동의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평생을 짠돌이로 살았는데 40년째 코스프레한다는 말인가”라며 이렇게 주장했다. 그는 “보유 중이던 주식을 매도해서 초기 투자 원금으로 사용했다”면서 “어디서 누구에게 빌린 돈도, 어디서 이체받은 것도 일절 없다. 실명 계좌만을 통해서 거래했고 거래 과정을 투명하게 전부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해충돌 지적에 대해서도 “이것이 이해충돌이라면 다주택자 의원들이 종합부동산세 깎는 법안에 앞다투어 나선 것은 더 직접적인 이해충돌”이라며 비판했다.

여당에선 김 의원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국민의힘 전주혜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김 의원이 연일 SNS에 자신은 결백하다는 해명 글을 올리고 있지만, 오히려 김 의원 해명이 꼬이고 있다”며 “정작 초기 투자금을 마련한 경로와 투자액, 그리고 이 자금이 현재 어디에 얼마 보관돼 있는지 여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