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 특위 구성 한시가 급한데… 여야, 위원장 자리다툼만
부산엑스포 특위 출범 왜 늦나
위원장 자리를 둘러싼 여야 싸움으로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 특위의 출범 연기가 우려된다. 엑스포 개최 예정지인 부산 북항. 부산일보DB
내년 9월 세계박람회기구(BIE)의 현장 실사가 예정된 ‘2030부산세계박람회’(부산월드엑스포) 유치를 위해 정부와 부산시가 총력전에 돌입했지만 국회의 움직임은 여전히 더디기만 하다. 여야 모두 부산월드엑스포 유치 지원 특별위원회(부산월드엑스포 유치 특위) 구성이 필요하다면서도 위원장을 두고 자리싸움만 벌이는 실정이다. 최악의 경우에는 내년 6월 출범하는 21대 국회 하반기 원 구성까지 특위 출범이 미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민주당 “국책사업인데 여당 몫” 국힘 “지역 주장 대변할 우리가” 위원장 놓고 여야 기싸움 팽팽 이번 정기국회서 출범 무산 전망 대선 영향 21대 국회서도 늦출 듯 부산 핵심사업, 여야 협의 나서야 ■여야 “위원장은 우리가 적격” 더불어민주당은 부산월드엑스포가 국책 사업인 만큼 유치 특위위원장을 여당이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미 민주당에서는 외교통일위원장인 이광재 의원을 특위위원장으로 추천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민주당 재선 의원은 “부산월드엑스포 유치는 부산 시민의 숙원 사업이기도 하지만 국가 사업이라는 측면으로 바라봐야 한다”며 “다른 경쟁국들과 맞설 수 있는 방안을 정부와 유기적으로 협력해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엑스포 유치전에 실무 역할을 담당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소관위원회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이 여당 의원이라는 점도 민주당 주장에 힘을 더한다. 반면 국민의힘에서는 부산 현안인 만큼 여전히 지역 자당 의원이 특위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 원내 관계자는 “(특위위원장을 국민의힘이 가져가야 한다는)기존 입장에서 달라진 점은 없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부산 과반 의석을 확보하고 있는 우리 당 의원이 특위위원장을 해야 지역의 목소리를 중앙 정부에 제대로 전달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도 지난 12일 부산시-국민의힘 예산정책협의회 회의 후 와 만난 자리에서 “(부산월드엑스포 유치 특위 구성을)최대한 빨리 하려고 노력 중”이라면서도 “우리 당 문제가 아니라 민주당 사정이 있는 것 같아 (특위 출범 시점은)지금 말씀드리기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민주당 사정’을 이유로 특위 출범 시기에 대해 침묵을 지켰지만 사실상 여당에 특위위원장 자리를 양보할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민의힘 내부서도 “양보해야” 여야가 특위위원장 자리를 두고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으면서 이번 정기국회 내 출범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음 달 9일 폐회하는 이번 정기국회 본회의는 다음 달 1일, 2일, 9일로 예정돼 있지만 여야 논의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이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상반기에는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가 잇따라 치러지는 까닭에 결국 내년 6월 출범하는 21대 국회 하반기 원 구성까지 특위 출범이 미뤄질 위기에 처한 셈이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여당이 맡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부산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아무래도 국가 사업을 추진하는 데 여당이 유리한 점은 있다”면서 “지역 의원들과도 이 같은 내용을 공유하고 부산 시민들을 위한 선택이 어떠한 것인지 함께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국민의힘이 부산월드엑스포 유치 특위를 협상 카드로 활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국회 정치개혁·언론미디어제도개선 특위를 모두 민주당에서 가져갔으니 국민의힘에서도 특위위원장을 가지려 하지 않겠냐”며 “부산월드엑스포 특위위원장만큼은 정치적 성격이 없는 특위이기 때문에 협상용으로 활용해서는 안 된다”고 꼬집었다. 부산월드엑스포 특위가 정쟁에 휩싸이면서 지역에서는 쓴소리가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부산시 관계자는 “여야 모두 부산월드엑스포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한 게 몇 번이냐”며 “부산월드엑스포는 가덕신공항, 북항재개발 등과 함께 부산 미래가 달린 핵심 사업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협의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산을 찾을 때마다 신속한 엑스포 유치 총력 지원을 약속한 여야 지도부와 대선 후보들은 물론 18명에 달하는 지역 현역 국회의원들도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