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해양 강국 밑그림 그릴 적임자 ‘부산항 북항사업 가속화’ 과제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조승환 해수부 장관 후보자 지명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3일 서울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브리핑룸에서 2차 내각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한덕수 국무총리, 권영세 통일부 장관, 김인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윤 당선인, 한동훈 법무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 후보(수어통역사 제외). 인수위사진기자단

13일 윤석열 정부의 초대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발탁된 조승환 후보자는 부산 출신으로 정통 관료다. 국무총리실과 해수부(해사안전국장·해양정책실장), 대통령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 원장 등 해양수산 관련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해양수산 전문가다.

‘신(新)해양 강국 재도약’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윤석열 정부에서 해양수산업의 성장을 이끌 최적임자로 평가받는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이날 회견에서 “조 후보자는 우리의 풍부한 해양 자원을 바탕으로 해양수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물류 중심 ‘신해양 강국’의 밑그림을 그려 낼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부산 출신 해양수산 전문가
후보자 “현장 찾아 긴밀히 소통”
항만자동화 구축 등 과제 산적
1년 표류 북항재개발 순항 시급

조 후보자는 해수부를 통해 배포한 소감문에서 “장관이 된다면 세계 최고 수준의 해상물류 체계를 구축하고, 수산업과 어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며 “연안경제를 활성화하는 데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또 “직접 현장을 찾아 해양수산인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현안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겠다. 구체적인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소상히 말씀드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조 후보자에게는 △신해양강국 재도약 △친환경 스마트항만 구축(항만자동화스마트 등)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 강화에 따른 친환경 선박 전환 등 대응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가입 시 수산인과 어업인 지원방안 강구 등 적잖은 과제들이 놓여 있다.

특히 △해수부의 감사와 트램 및 공공콘텐츠 사업 비용 떠넘기기 등 행정으로 1년여 간 차질을 빚은 국책사업인 부산항 북항재개발사업 가속화 △범국가사업인 부산항 북항 일대에서 개최될 2030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적 유치를 위해 예비타당성조사 기간 등 행정절차 단축과 주요 시설 재배치(55보급창·관공선 부두)도 중요한 숙제다.

1966년 부산 출생인 조 후보자는 부산 대동고와 고려대 법대를 졸업하고, 1992년 제34회 행정고시 합격 후 통일원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국무총리 정부비서관실과 의전비서관실을 거쳐 2003년 해수부 연안계획과장으로 부임하며 해수부와 첫 인연을 맺었다. 이어 국제기획관실 물류제도팀장, 해사안전국장, 해양정책실장 등 해수부 주요 보직을 두루 역임했다.

한편 부산 시민단체는 조승환 후보자를 환영하면서도 북항재개발사업의 신속하고 성공적인 진행을 촉구했다.

14일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항사모)는 2차 내각 인선 발표 직후 성명서를 내고 “신임 해수부 장관 내정을 축하한다. 세계 7위(환적 2위)의 부산항을 둔 부산은 명실공히 동북아 해양수도다”고 운을 뗀 뒤 “그동안 해수부는 북항재개발에 관한 내부 감사 등 소모적 논쟁으로 1년여 간의 사업 표류, 북항재개발의 공기 지연 등을 초래해 해수부의 든든한 후원자였던 부산 시민에게 허탈감을 안겨 줬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는 해수부가 북항재개발이 단순한 구 부두개발이 아닌 부산경제의 신성장 동력이라는 점을 간과한 것”이라며 “북항재개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북항재개발 추진단장의 직급을 상향 조정하고, 해수부 장관 직속으로 둬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부산항건설사무소 재개발 실시계획 기능과 추진단의 재개발사업계획 기능 일원화가 시급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송현수·박혜랑 기자 songh@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