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임직원 잇단 비리 부산교통공사, 환골탈태하라
부산시 산하 부산교통공사 임직원들의 비리 의혹이 점입가경이다. 최근 잇따른 일탈 행위가 드러나면서 시민의 안전을 과연 맡길 수 있는지 의문이 들 정도이다. 보도에 따르면 부산교통공사의 A 임원이 특정 업체에 일감을 몰아주는 등의 방식을 통해 금품과 향응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고 한다. A 임원은 도시철도 전반에 대한 시설 설치와 정비 업무를 총괄하면서 사업 발주 등과 관련해 금품을 수수했다는 혐의로 현재 직위 해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임원 외에도 몇몇 간부들의 연루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공사 내부의 조직적 비리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뇌물·근무 시간 도박 등 경찰 수사 중
부산 대표 공기업 신뢰 추락 불가피
한 해 1500억 원 가까운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는 부산지하철 건설 및 시설 관리에서 비리 혐의가 사실로 밝혀진다면 공사의 신뢰성 하락 등 파급은 일파만파로 커질 것이다. 이런 와중에 부산도시철도 직원이 근무 시간 중에 운수 수입금과 교통카드 충전금 등 현금 1400여만 원을 빼돌려 인터넷 도박을 한 사실까지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350만 시민의 안전과 대중교통을 책임진 핵심 지방공기업의 직업윤리가 이렇듯 땅에 떨어져 있다는 것은 통탄할 노릇이다. 이 정도면 부산지하철이 바퀴가 빠진 채 굴러가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그동안 부산도시철도의 잦은 사고가 차량 노후 탓만이 아니라, 임직원의 비리와 태만이 원인이라는 심정마저 굳히게 될 정도다.
부산교통공사의 연이은 탈선행위는 지방공기업에서 공공 부문의 부패가 여전함을 보여 준다. 도대체 이 지경에 이를 정도로 부산시와 교통공사의 관리·감독이 있었는지 의아할 정도이다.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이란 부산교통공사 설립 목적이 헛구호에 불과함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부산시민들도 “과연 믿고 탈 수 있을까”라면서 동요하고 있다. 지하철 건설 및 관리에서 발생하는 비리와 태만은 지하철 안전사고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고, 그 피해는 전부 부산 시민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오죽했으면 부산지하철노조가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면서 ‘노사 공동 청렴정책 협의회’의 신속한 개최를 요청했겠는가.
이번 임직원의 잇따른 비리는 빙산의 일각일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사건을 수사 중인 부산경찰청은 철저한 수사를 통해 비리 의혹을 낱낱이 파헤쳐야 한다. 감독 기관인 부산시는 임직원과 기관장에 대해서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 공공부문 부패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부산시민의 안전은 물론이고, 24시간 묵묵히 일하는 대다수 교통공사 직원들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필요한 일이다. 지하철노조의 지적처럼 인사 시스템 혁신과 간부 직원의 대대적인 순환 인사도 고려할 만하다. 시민의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서 뼈저린 각성과 변화의 노력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