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통합 LCC 본사 부산의 꿈’
장맛비 속에서도 지역 항공사 ‘에어부산’을 살리기 위한 1인 시위가 진행되고 있다.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는 곧 산업은행과 대한항공 본사에도 찾아가 항의할 계획이라고 한다. 국적항공사 대한항공이 제2도시 부산을 장삿속으로만 대하자 부산시민들이 단단히 화가 난 것이다. 대한항공은 에어부산·에어서울·진에어 등 저비용항공사(LCC) 3사를 진에어로 통합하고, 항공사 허브공항(모항)을 인천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이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을 위해 대한항공에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하면서 강조했던 ‘지방공항 허브 구축’과 ‘지역경제 활성화’ 약속이 공수표가 되어 날아갈 처지가 된 것이다. 부산이 애지중지 키운 지역 항공사 에어부산까지 소멸할 위기에 처했으니 시민들의 실망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가덕신공항 개항 때는 반드시 필요
지역 정치권 나서서 확약받아야
대한항공 조원태 회장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부산은 매우 중요한 시장이지만 ‘세컨드 허브(secondary hub)’가 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화장실 갈 때 마음이 다르고 나올 때 다르다는 말이 생각난다. 이는 부산시와 부산 상공계가 고대하는 ‘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를 정면으로 거부하겠다는 뜻이다. 산업은행은 2020년 4월 수출입은행과 함께 대한항공에 1조 2000억 원을 지원한 데 이어 11월에는 8000억 원의 정책자금을 투입했다. 대한항공에 집중적인 자금 지원으로 특혜 의혹이 일자 산업은행은 지방공항을 기반으로 인천공항 이외의 ‘세컨드 허브’를 구축해 ‘지방공항 출도착 노선’을 확장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당시 모두가 이해한 ‘세컨드 허브’의 개념은 유사시 인천공항을 대체하는 수준의 공항이었다. 통합 LCC의 모항도 아닌 현재의 보조 공항 개념은 당초 약속과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이런 식으로 LCC 통합이 진행되면 지역 항공사 ‘에어부산’ 브랜드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동시에 대부분 지역 출신인 에어부산 2000명의 젊은 인재들도 진로가 불투명해진다. 아무리 기업의 가치가 이윤 추구라지만 무려 2조 원의 혈세가 투입된 국적항공사라면 약속을 지켜야 한다. 국가의 미래가 걸린 지역균형발전에 역행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가덕신공항이 개항했는데 그곳을 모항으로 하는 항공사가 없다면 빛 좋은 개살구가 될 수도 있다. 코로나 팬데믹 같은 위기가 다시 찾아오지 말라는 법도 없으니 장기적인 성공을 담보하기 어렵다. 가덕신공항을 근거로 운항하는 항공사가 버티고 있어야 항공 산업에서 좋은 일자리가 나오기 마련이다. 가덕신공항은 동남권 관문공항뿐만 아니라 진정한 대한민국 세컨드 허브공항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최소한 가덕신공항 개항과 동시에 통합 LCC 본사가 들어와야 한다. 지역 정치권이 적극 나서서 산업은행과 대한항공을 상대로 이 점에 대해서 확실하게 못을 박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