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또 발사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미·일 확장억제 강화에 반발
합참 “유엔 결의 위반, 중단하라”

최근 국회 본회의에서 북한 탄도미사일 도발 규탄 및 중단 촉구 결의안이 의결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국회 본회의에서 북한 탄도미사일 도발 규탄 및 중단 촉구 결의안이 의결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은 17일 한·미·일 확장억제 강화에 반발해 군사적 대응이 더 맹렬해질 것이라는 담화를 발표하고 곧바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1발을 발사했다. 북한이 “미국이 반드시 후회할 도박을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위협한 터라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전략도발 가능성이 커지며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북한은 이날 오전 10시 48분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SRBM 1발을 발사했다. 이달 9일 동해상으로 SRBM을 쏜 뒤 8일 만이다. 미사일 비행거리는 약 240km, 고도는 약 47km, 속도는 약 마하 4(음속 4배)로 탐지됐다. 한·미는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직후 공조 회의를 통해 상황을 공유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연이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중대한 도발 행위”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으로 이를 강력히 규탄하며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미는 이날 오전 양국 이지스 구축함이 참여한 가운데 여러 탐지 자산을 통합해서 연합 미사일 방어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는데 미사일 발사 이전에 시행됐다고 한다. 합참은 최근 연이은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비해 지속해오던 훈련이라고 설명했는데, 북한은 이 훈련을 포착하지 못했을 것으로 당국은 보고 있다.

특히 이번 미사일 도발은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담화를 발표한 지 약 1시간 40분 만에 이뤄졌다. 최 외무상은 이날 담화를 내고 미국이 동맹국에 대한 확장억제 제공과 역내 군사적 활동을 강화할수록 “우리의 군사적 대응은 더욱 맹렬해질 것”이라고 위협했다. 당국은 북한의 비난 담화를 반박하며 대화로 나오라고 촉구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또다시 책임을 외부로 전가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올해 62번째 탄도미사일 도발을 재차 감행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당사자는 한·미가 아니라 북한이며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고 밝혔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