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신춘문예-시조 심사평] 형식적 긴장감에 ‘상’ 전개 능력 탁월
시조 입문 희망자의 작품들이 시대와 너무 동떨어진 풍경을 노래하고 있을 때 심사위원들은 당연하게 시대의식을 강조했다. 그러나 요즈음에 와서는 다시 서정성의 무게를 강조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대다수의 투고자들이 시대의식에 너무 기울어져서 정형시의 생명인 서정성에 정성을 덜 들이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기 때문이다. 서정성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시조는 우선 시로 읽히지 않는다. 올해 투고 작품에서 특히 그런 느낌을 받았다. 무언가 남다르게 이야기하려고 하지만 어쩐지 잘 다가오지 않는다. 그런 탓인지 탁월한 개성미도 찾을 수가 없다. 응모작 중에서 심사위원이 마지막까지 손에 들고 놓지 않았던 작품은 ‘사유의 독법’ ‘비밀번호’ ‘그 전자마트엔 실내등도 꿈을 꾼다’ ‘스카치테이프의 연애방식’ ‘어느 사직서’였다. 이 작품들의 공통점은 서정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일정한 감동을 준다는 점이었다. 여러 번 반복해 읽으면서, 진정성은 느껴지지만 상이 너무 단순한 작품, 참신하지만 말재주에 가까운 느낌이 드는 작품, 시대의 어두운 면을 노래하고 있지만 이제는 너무 보편적인 내용이 되어버린 작품 등은 어쩔 수 없이 내려놓고 ‘사유의 독법’을 당선작으로 결정했다. 이 시인이 보여준 작품에서 심사위원이 발견한 장점은 시조의 형식으로 충분히 긴장감을 만들고 상을 전개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이다. 미적 개성이 다른 두 불상에 자신의 생을 겹쳐 읽으면서 ‘그게 다/내 안에 있는데/괜찮다, 꽃이 못돼도’라는 사유로 종장을 완결해내는 그에게 당선의 영광은 어울리는 보상이라고 생각하면서 축하와 더불어 대성을 빈다.
심사위원 이우걸 시조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