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지방정부, 지역대학 허브로 첨단과학, 디지털 혁신 팔 걷어야”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7일 대전 KAIST에서 혁신 기업인 만나 지역 발전 전략 언급
“지역에 뿌리 둔 과학기술·디지털 혁신 기업 힘껏 지원할 것”
공직자들과 대화에선 “기업이라는 생각으로 정책 펼쳐야”

윤석열 대통령이 7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에서 열린 대전 과학기술·디지털 혁신기업인과의 대화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에서 열린 대전 과학기술·디지털 혁신기업인과의 대화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지역의 발전 전략과 관련, “지방정부도 첨단 과학기술과 디지털 혁신에 팔을 걷어붙여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창업원에서 과학기술·디지털 혁신 기업인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같이 밝히면서 “지역 대학을 지역 발전의 허브로 삼고 인재들이 그 지역에서 기술 창업에 투자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인 지방시대의 두 축이 첨단 과학기술과 교육”이라며 “정부 역시 지역에 뿌리를 둔 첨단 과학기술·디지털 혁신 기업이 당당하게 세계 무대로 나아가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힘껏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지역에서 키운 꿈 세계에서 꽃 피우다’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역 대학·기업과 연계한 디지털 교육을 확대하고 지역 주도 대형 디지털 프로젝트를 기획하겠다”며 “과학기술·디지털 기업과 인재가 지역에서 성장해 정착할 수 있는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대전 지역 스타트업 현황과 관련, “1200여 개 기업이 창업해 83조 5000억 원의 자산과 28조 원의 매출 성적을 거두고 있다”고 발제했고, 이에 윤 대통령은 “‘KAIST 혁신기업 창업사’를 책으로 발간하면 창업하려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 국무회의가 끝난 뒤 각 부처의 국·과장, 사무관들과 가진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공직자들이 기업이라는 생각으로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화에는 MZ세대 70여명을 포함해 150여 명의 공무원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오염 정화기술 보유 기업을 육성해 환경에 기여하는 방안도 있다고 언급하면서 “시장의 경제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도록 공직자들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 더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정부가 되는 방안을 고민해달라”고 규제 혁신을 거듭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또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가 작동하고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가진 나라가 국민을 부유하고 행복하게 만든다”며 “시장이 공정하게 작동하고 기업은 국가의 정책 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세계적인 기업을 다수 보유한 초일류 국가로 발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과의 대화’에 이어 참석자들과 스탠딩 오찬을 했으며 젊은 공무원들과 셀카 촬영도 진행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대학 소식

        영산대 법학과, 印尼 이브라힘말랑주립대와 워크숍 개최

        영산대 법학과, 印尼 이브라힘말랑주립대와 워크숍 개최

      • 뉴스인뉴스

        한국수산자원공단, 기장군과 합동 소방훈련 실시

        한국수산자원공단, 기장군과 합동 소방훈련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