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전기사용량 역대 여름 최대… 현실이 될 ‘냉방비 폭탄 고지서’
전력거래 5만 1000GWh 넘어
수요 급증에 요금 인상 맞물려
지난 8월 유례 없는 폭염으로 일반 가정과 상점을 비롯한 상업시설의 냉방용 전기 수요가 급증한 가운데, 최근 전기요금이 큰 폭으로 오른 탓에 이달부터 가정과 소상공인 등이 내야 할 ‘8월분 전기요금’이 크게 오를 전망이다.
지난 8월에 4인 가구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전기를 30% 더 썼다면 전기요금은 작년 8월보다 배(100%) 가까이 오른 13만 원대를 내야 하고, 20%를 더 썼다면 70% 이상 오른 11만 원대를 더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지난 8월 전력거래소에서 이뤄진 전기 거래량은 ‘역대 여름철 최대치’인 5만 1000여 GWh(기가와트시)로 잠정 집계됐다.
업계에서는 경기 영향으로 전체 수요의 약 55%를 차지하는 산업용 전기 사용량이 정체된 가운데 8월 가정용과 상업시설에서 쓰는 일반용 전기 사용량이 예년보다 급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평소 가정용 전기와 일반용 전기 비중은 각각 약 20% 수준이다.
전력 업계 관계자는 "올해 8월에는 전반적으로 날씨가 매우 더웠기 때문에 역대급 전기 사용량이 나왔을 수 있다"며 "산업용 전기 수요가 아직 늘지 않는 상황에서 가정과 일반 가게 등에서 냉방 수요가 많았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가정용과 일반용 전기 사용량은 날씨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8월 하루 최고 기온이 섭씨 33도 이상인 폭염일은 11일로 2018년 이후 가장 많았다.
이처럼 8월 전기 사용량이 가정용과 일반용 위주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돼 당장 이달부터 가정과 소상공인 등이 내야 할 8월분 전기요금이 전반적으로 높아졌을 가능성이 커졌다. 급등한 국제 에너지 가격을 반영하기 위해 지난 여름 이후 전기요금은 세 차례에 걸쳐 kWh(킬로와트시)당 28.5원 인상됐다.
한 달에 427kWh의 전기를 쓰는 4인 가구라면 작년 8월 6만 6690원의 전기요금을 냈지만, 올해 8월에는 이보다 20.8% 오른 8만 530원을 내야 한다. 만일 무더위로 8월 에어컨 사용량이 많아져 전기 사용량이 작년 동월보다 20% 늘었다면 이달 전기요금은 지난해보다 73.4% 급증한 11만 5640원을 내게 된다. 전기 사용량이 30% 늘었다면 작년 요금의 거의 배에 달하는 13만 1340원을 내야 한다.
전기 사용량이 늘어난 만큼보다 요금이 더 가파르게 오르는 것은 전체적인 사용량이 늘면 kWh당 요금이 높게 매겨지는 상위 누진 구간에 진입하기 때문이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