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지 못 하는 김민재, 또 풀타임…뮌헨 승리 지켰다

정광용 기자 kyjeo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챔스리그 갈라타사라이 원정 경기
체력 부담에 고전…후반 안정 되찾아
뮌헨, 케인 1골 1도움으로 3-1 승리
조별리그 3연승 거두며 선두 유지

바이에른 뮌헨의 김민재(오른쪽)가 25일(한국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램스 파크에서 열린 2023-2024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 조별리그 A조 3차전 갈라타사라이와의 원정 경기에서 갈라타라사이의 마우로 이카르디의 슈팅을 저지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바이에른 뮌헨의 김민재(오른쪽)가 25일(한국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램스 파크에서 열린 2023-2024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 조별리그 A조 3차전 갈라타사라이와의 원정 경기에서 갈라타라사이의 마우로 이카르디의 슈팅을 저지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철기둥’ 김민재(바이에른 뮌헨)가 강행군을 거듭하면서도 팀 승리를 지켜 냈다.

김민재는 25일(한국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램스 파크에서 열린 2023-2024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 조별리그 A조 3차전 갈라타사라이SK와의 원정 경기에서 풀타임을 소화했다. 뮌헨은 1골 1도움을 작성한 해리 케인의 활약을 앞세워 3-1로 이겼다.

조별리그 3연승(승점 9)을 달성한 뮌헨은 A조 선두를 질주했다. 더불어 UCL 조별리그에서만 16연승을 포함, 37경기 연속 무패 행진(34승 3무)을 이어 갔다.

이날 뮌헨은 초반부터 갈라타사라이의 강력한 공세에 밀려 고전했다. 전반에만 슈팅 수 3-16개로 열세를 보였다.

중앙 수비수 김민재도 악전고투를 펼쳤다. 동료 수비수들의 잇단 부상으로 연속 풀타임을 뛰며 다소 무거운 몸놀림도 나타냈다. 올 시즌 초반 마티아스 더리흐트에 이어 최근엔 다요 우파메카노가 번갈아 부상으로 이탈해 김민재 홀로 수비의 중심을 잡고 있다. 올 시즌 뮌헨 유니폼을 입은 뒤 김민재는 9경기 연속 풀타임을 소화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국가대표팀 A매치도 두 경기 치렀다. 지난 13일 튀니지전에도 풀타임을 뛰었고, 17일 베트남전에서도 풀타임에 가까운 76분을 소화했다. 소속팀에 복귀하자마자 독일 분데스리가 마인츠05와의 경기와 이번 UCL 갈라타사라이전까지 풀타임 활약했다. 그야말로 강행군이다.

바이에른 뮌헨의 김민재(오른쪽 두 번째)가 25일(한국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램스 파크에서 열린 2023-2024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릭(UCL) 조별리그 A조 3차전 갈라타사라이와의 경기에서 팀 승리를 이끈 뒤 상대 선수와 인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바이에른 뮌헨의 김민재(오른쪽 두 번째)가 25일(한국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램스 파크에서 열린 2023-2024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릭(UCL) 조별리그 A조 3차전 갈라타사라이와의 경기에서 팀 승리를 이끈 뒤 상대 선수와 인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그래서인지 이날 김민재는 평소답지 않은 활약을 보였다. 축구 통계 사이트 풋몹에 따르면 김민재는 걷어내기 2회, 차단 2회, 헤더 클리어 1회, 인터셉트 2회, 리커버리 7회 등으로 분전했지만, 볼경합에서 50% 이하로 부진했다. 지상·공중 볼경합 9회를 시도해 4회 성공에 그쳤다. 패스 성공률은 90%(58회 시도 중 52회 성공)로 높았으나, 긴 패스 성공률은 60%(10회 중 6회 성공)에 머물렀다. 특히 전반 38분엔 헤더 실수를 저질러 케렘 아크튀르콜루에게 유효슈팅을 허용하는 아찔한 장면도 연출했다.

풋몹이 김민재에게 선발 선수 중 가장 낮은 평점 7.3을 부여한 것도 이 때문이다. 소파스코어도 평점 7.1로 박한 평가를 내렸다. 그렇지만 후반부터 다시 안정을 되찾으며 예의 ‘철벽 모드’로 뮌헨의 승리를 뒷받침했다.

이날 뮌헨은 전반 8분 만에 킹슬리 코망의 선제골로 앞서갔지만, 전반 30분 요주아 킴미히의 태클 반칙으로 페널티킥 골을 내줘 전반을 1-1로 마쳤다. 후반 28분 자말 무시알라의 침투패스를 받은 해리 케인이 골을 추가한 데 이어 후반 34분엔 케인의 절묘한 패스를 받은 무시알라가 쐐기골을 넣어 승리를 가져왔다.


정광용 기자 kyjeo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