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합참의장에 김명수 해작사령관 파격 발탁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중장 출신 임명 1994년 이후 처음
윤 대통령, 대장 7명 전원 물갈이

윤석열 대통령이 4성 장군(대장)을 모두 교체하고 3성 장군을 군 서열 1위인 합동참모본부 의장에 임명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정부는 29일 합참의장과 육해공군 참모총장,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육군 지상작전사령관과 제2작전사령관 등 7명의 4성 장군을 모두 교체하는 군 수뇌부 인사를 발표했다. 김승겸 현 합참의장의 후임으로는 김명수(사진·해사 43기) 해군작전사령관(3성 장군)이 내정됐다. 중장인 3성 장군을 대장으로 진급시켜 합참의장에 발탁한 것은 1994년 미군이 보유하던 평시 작전통제권이 한국군 합참의장에게 넘어온 이후 처음이다. 해군 출신 합참의장 발탁은 2013년 최윤희 의장(재임기간 2013∼2015년) 이후 10년 만이며, 역대 두 번째다. 비육군 출신 합참의장은 역대 다섯 번째다. 김 내정자는 국무회의 의결과 국회 인사청문회 절차를 거쳐 임명된다.

육군참모총장에는 박안수(육사 46기) 국군의날 제병지휘관, 해군참모총장엔 양용모(해사 44기)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공군참모총장엔 이영수(공사 38기)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이 각각 임명됐다. 연합사 부사령관에는 강신철(육사 46기) 합참 작전본부장, 지상작전사령관에는 손식(육사 47기) 특수전사령관, 육군 제2작전사령관에는 고창준(3사 26기) 수도군단장이 발탁됐다.

이번 인사에 대해선 윤 대통령이 작년 5월 군 수뇌부를 전면 교체한 이후 1년 5개월 만에 물갈이 인사가 단행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7명의 4성 장군 보직이 이번 인사로 중장에서 대장으로 진급하게 된 장성으로 채워졌다. 문재인 정부 때 중장 이상 고위 장성으로 진급한 인물은 군 수뇌부에서 거의 사라지게 됐다. 이번에 4성 장군 보직을 받은 인사 중 지난 정부 때 중장으로 진급한 인물은 강신철 신임 연합사 부사령관이 유일하다. 그는 문재인 정부 때 국가안보실 국방개혁비서관으로 근무했고,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합참 작전본부장에 등용된 바 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