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의대 정원 확대·신설에 사활
정부·국회 등 방문 증원·신설 적극 건의
1일 창원 의대 설립 국회 토론회도 개최
경남도가 도내 의대 정원 확대와 신설을 위해 토론회를 잇따라 개최하는 등 사활을 걸었다.
1일 경남도에 따르면 경상국립대 의대 정원을 기존 76명에서 200명 이상으로 증원하고, 인구 100만 특례시인 창원에 의대를 신설해 정원을 100명 이상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에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경남도 이도완 복지보건국장과 이영일 도지사 정책특별보좌관이 지난달 19일 보건복지부, 25일 국회에 이어 31일 대통령실을 찾아 지역 의대 증원을 거듭 건의했다. 현재 경남도의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174.2명으로, 전국 평균 218.4명에 크게 못 미친다. 정원 확대 규모는 경남지역 의사인력 수요 추계, 의대 정원 전국 평균 대비 형평성, 지역대학 수용 여건, 도내 공공병원 확충 계획 등을 고려해 산출했다고 경남도는 덧붙였다.
1일에는 경남도와 창원시가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지역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한 창원지역 의과대학 설립’을 주제로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 지난 3월에 이어 올해 두 번째 국회 토론회다. 창원은 비수도권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중 유일하게 의대가 없는 지역이다. 의대뿐만 아니라 치대·한의대·약대 등 의료인 교육기관이 단 한 곳도 없다. 의대가 신설되더라도 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의사가 배출되려면 10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도와 시는 하루빨리 의대가 신설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토론회 참석자들도 열악한 지역의료 현실을 지적하며 창원 의대 설립이 절실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창원경상국립대병원 김영수 공공보건사업실장은 권역외상센터와 정신응급수용기관 부재, 소수에 그치는 소아 24시간 진료가능 응급실, 준대형 종합병원의 정원 대비 인력 부족 등 창원의료의 현실을 짚으며 의대 설립을 통한 의사 양성 필요성을 역설했다. 지역 인재유출이 갈수록 심화되는 가운데 일자리 확보 측면에서도 의대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토론회에 앞서 창원지역 국회의원 5명은 창원 의대 신설을 촉구하는 공동 건의문도 발표했다. 이들은 “정원 100명 규모의 창원 의대를 신설해 지역 간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고 필수 의료인력을 확충해야 한다”며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계획에 창원 의대 신설이 반드시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창원에서는 올해 초 각계각층으로 구성된 ‘창원 의대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가 출범해 ‘100만 시민 100만 서명운동’을 이어가는 등 의대 설립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