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부산권 광역도시 미래상 청사진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 광역도시계획안 첫 공개
경남도와 강서구청서 공청회
지역 불균형 해소 초점 맞춰
부산권 인구 466만 명 기대

부산 가덕도(사진 오른쪽)와 부산항 신항 일대 모습. 연합뉴스 부산 가덕도(사진 오른쪽)와 부산항 신항 일대 모습. 연합뉴스

2040년 부산과 인접 김해, 양산 등 부산권 광역도시는 스마트 물류 인프라를 바탕으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1시간 생활권 광역교통망이 확충돼 정주환경이 크게 나아질 전망이다.

부산시는 경남도와 함께 2일 오후 부산 강서구청에서 ‘2040 부산권 광역도시계획안 공청회’를 열고, 부산광역권의 미래상을 공개했다.

광역도시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하는 도시계획 체계상 최상위 계획이자 광역계획원의 장기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지침 역할을 한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2021년 10월 광역도시계획협의회를 만들고 용역을 통한 공동연구를 거쳐 이번 부산권 광역도시계획안을 마련했다.

시는 국토계획평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등 남은 절차가 있지만, 이날 공청회에서 지난 3년간 고심해 온 광역도시계획안을 처음으로 공개해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계획안은 ‘균형과 혁신의 동북아 그린스마트 허브 부산·김해·양산’을 미래상으로 잡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3대 발전목표와 6개의 추진전략, 12개 추진과제를 담았다. 2040년 부산권의 인구는 통계청 인구추계에 따르면, 부산 282만 7000명, 김해시 49만 1000명, 양산시 36만 9000명 등 총 368만 7000명으로 나타났다. 2025년 410만 9000명, 2030년 397만 3000명, 2035년 384만 2000명 등으로 지속 감소한다는 게 통계청 분석이다. 하지만 부산시는 도시기본계획을 적용하면 2040년 부산권 인구가 466만 명 수준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 368만~460만 명으로 계획인구 범위값을 제시했다.

3대 발전목표는 △교류와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스마트 물류허브 조성을 통한 물류인프라 제고 △행복하고 지속가능한 삶터 구현으로 집약됐다. 이에 따라 지역 간 공간구조와 기능연계를 통해 부산권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2040년까지 우선 추진해야 할 12개 추진과제도 제시됐다. △초광역 거버넌스체계(초광역권 경제동맹) 구축을 통한 협력기반 조성 △광역시설·교통연계 강화로 상생·협력 방안 모색 △4차산업혁명을 이끄는 신산업 육성 통한 미래신성장동력 확보 및 인재 동반성장 △노후산업시설 고도화를 통한 구조재편 및 미래산업 기반 확충을 위한 광역 인프라 구축 △트라이 포트 기반의 첨단물류거점 강화 △미래형 교통수단 활용 △주요거점 1시간 생활권 실현과 교류를 통한 생활공동체 구축 △핵심 전략사업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정주환경 개선·도시서비스 향상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정책 선도 등이다.

아울러 미래 변화에 대응해 부산권 공동으로 연계·활용할 수 있는 공간구조안과 토지이용, 교통·물류, 녹지·경관 관리, 환경보전, 문화·여가, 방재안전 등의 부문별 계획과 개발제한구역 관리방안도 발표됐다.

또 개발제한구역은 16.173㎢이 해제 가능한 총량으로, 난개발 우려지역이나 생태적 복원이 필요한 지역을 중심으로 친환경적 개발을 이끌 계획이다.

부산시 임경모 도시계획국장은 “부산과 경남이 함께 급변하는 도시문제에 대한 광역적 차원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부산권 광역도시계획 마련을 통해 수도권 편중과 지역 불균형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