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제헙력으로 80개 초격차 급소기술·100개 산업원천기술 신속 확보”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 산업 R&D 개방 '글로벌 기술협력 종합전략' 발표
반도체패키징 등 180개 기술 국제 공동개발…1.9조원 투입
산업 R&D 외국기관에 전면 개방…MIT 등에 '산업기술 협력센터'
첨단·주력산업 내 80개 핵심기술 5년내 개발·상용화 목표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다섯 번째)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기술협력 종합전략’ 기업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다섯 번째)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기술협력 종합전략’ 기업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산업부 제공 산업부 제공

정부가 내년부터 국내 단독 개발이 어려운 ‘80개 초격차 급소(핵심)기술과 100개 산업원천기술’을 국내 기업과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방식으로 신속히 확보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오후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방문규 장관 주재로 열린 ‘주요 기업 최고기술책임자(CTO) 간담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글로벌 기술협력 종합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올해 5조 7000억 원에 달한 산업 R&D 가운데 6%에 못 미친 국제협력 비중을 2018년까지 15% 이상으로 확대하는 큰 방향을 제시했다. 국내 단독 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기술을 해외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로 신속히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산업부 제공 산업부 제공

정부는 구체적인 지원 대상으로 초격차 급소기술 80개, 산업원천기술 100개, 미래기술 10개를 제시했다.

우선, 80개 초격차 급소기술은 반도체·이차전지와 같이 완성품 수준에서는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지만, 첨단산업의 밸류체인 내에서는 국내 기술력이 취약한 핵심기술로, 차세대 인터포저를 활용한 첨단 패키징 기술, 서비스 로봇용 다중감각 지능 모듈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80개 초격차 급소기술을 선별해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관 중 최적의 파트너를 매칭하고, 5년 내로 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목표를 잡았다. 이를 위해 내년 1487억 원을 투입해 48개 기술 개발에 착수하고 2030년까지 총 1조 2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100대 산업원천기술은 희토류를 쓰지 않는 전기차 모터용 영구자석, 차세대 AI(인공지능) 컴퓨팅·반도체, 세포 재생 신약 등 해외 원천기술을 토대로 국내 산업의 차세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기술이다. 100대 산업원천기술은 10년내 상용화를 목표로 한국의 '차세대 먹거리' 창출에 초점이 맞춰진다. 이를 위해 내년 665억 원을 투입해 50개 과제 연구개발이 시작되고, 2028년까지 총 6870억 원이 투입된다. 특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스탠퍼드대 같은 최우수 연구기관에 '산업기술협력센터'를 설치하는 등 국내 기업 수요를 바탕으로 각 분야 원천기술을 가진 세계 최우수 연구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이처럼 국제 공동 R&D를 통해 총 180개(초격차 급소기술 80개, 산업원천기술 100개) 기술 확보에 2030년까지 약 1조 90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정부는 국제 공동연구 지원 대상을 선정할 때 무기명 전문가 평가 등 다층 검증을 통해 국제협력이 꼭 필요한 기술을 추려낼 방침이다. 지원 과제 선정 후에는 분야별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가동해 연 2회의 연구 중간 점검을 진행하고, 불성실 과제로 판단되면 지원을 중단하는 등 관리 체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180개 과제 외에도 정부는 맞춤형 인공 장기, 초실감 공간 컴퓨팅 등 기존 주력 산업을 대체할 10대 '게임 체인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025년 사업 착수를 목표로 1조 원 규모의 예비 타당성 조사 사업도 추진한다. 정부는 국내 연구자가 해외기관에 파견돼 직접 연구에 참여하고, 공동개발로 만들어진 기술을 기업들이 실제로 쓸 수 있게 지식재산권(IP) 실시권 확보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방문규 장관은 "우리 경제가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국가 R&D 시스템을 혁신해 개방형 혁신과 글로벌 협력을 통해 산업 역동성을 높이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의 국가 R&D 예산은 올해 기준으로 31조 원에 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기초 분야를 중심으로 가장 많은 약 9조 7000억 원을 관리 중이며, 산업부는 산업 활용도가 높은 프로젝트들을 중심으로 약 5조 7000억 원을 관리하고 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