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역구 18석’ 유지 청신호… 남구 통합·북강서구 분할 획정안 도출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선거구획정위, 의장에게 제출
동래구는 단일 선거구로 남아

김진표 국회의장이 1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김진표 국회의장이 1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이 내년 총선에서 18개 국회의원 선거구를 지킬 가능성이 높아졌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부산 18석’을 유지하는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획정안은 다시 여야 협상을 거쳐야 하고 더불어민주당이 획정안에 반발하고 있지만 부산의 18석 유지 가능성은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는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제22대 국회의원선거의 선거구획정안을 오늘 국회의장에게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김진표 국회의장은 지난 1일 선거구 획정 지연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현행 지역구 수를 유지하면서 시·도별 의원 정수 등을 획정위원회에서 조정해 5일까지 획정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획정위는 이번에 제출한 획정안에서 기존 253개 지역구 수를 유지하고 인구 범위를 13만 6600명~27만 3200명으로 적용했다. 시·도별로는 서울·전북에서 1석씩 줄이고 인천·경기에서 1석씩 늘렸다. 부산의 경우 현재의 18석을 유지하면서 분구와 합구를 통해 선거구를 조정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부산 북구·강서구의 경우 기존 갑·을 2개 선거구를 3개로 분할하는 안이 나왔다. 강서구는 인구 하한을 넘어섰기 때문에 독립 선거구로 분구하고 북구는 갑·을로 나눈다. 반면 부산 남구는 인구 하한 미달로 기존 갑·을 선거구를 하나로 합친다.

획정안에 따르면 동래구의 경우 인구 범위 상한 조정으로 단일 선거구로 남게 된다. 동래구는 선거구 획정 인구 기준일인 지난 1월에 인구가 27만 3177명으로 전국 최대 선거구가 된다. 사하구갑·을의 경우 하한인구 미달인 사하구갑에 사하구을 지역 일부를 넘겨주는 ‘구역 조정’을 통해 2개 선거구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사하을의 신평 2동이 사하갑으로 넘어갈 전망이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