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사회적경제센터 직원들, 수탁기관 바뀌자 일터 잃을 판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내년부터 부산경제진흥원 수탁
계약직 8명 모두 계약 해지 통보
시 “고용 승계 권고사항 없어”

공공기관 위탁 체제로 바뀌는 부산시 사회경제지원센터. 부산일보DB 공공기관 위탁 체제로 바뀌는 부산시 사회경제지원센터. 부산일보DB

부산에서 사회적기업 활동을 돕는 부산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직원들이 내년부터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 센터의 위탁기관이 민간에서 공공으로 바뀌면서 시가 고용승계 대신 계약 해지를 통보했기 때문이다. 직원들은 부당해고라며 반발한다.

17일 시에 따르면 내년도부터 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이하 센터)는 민간 업체에서 부산경제진흥원으로 수탁기관이 변경된다. 시 산하기관인 센터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취약계층 채용을 돕는 사회적경제기업을 지원하고 기업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업무를 한다. 2018년 문을 연 센터는 마을기업과 자활기업, 협동조합 등 시에 등록돼있는 사회적경제기업 총 1500곳을 대상으로 약 10만 건의 상담과 현장 소통을 진행했다.

그런데 내년부터 센터 운영이 민간에서 공공기관으로 바뀌게 돼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위기에 놓였다. 센터는 2018년부터 민간 위탁으로 운영됐지만 지난 11월 부산시의회에서 공공 위탁으로 운영 방식을 바꾸기로 결정했다. 공공 운영이 전문적이고 효율적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공공 위탁으로 바뀌면서 센터에서 일하는 계약직 직원 8명은 이달 계약 종료를 통보받았다. 시는 부산경제진흥원 인력을 팀장으로 배치하고 공개 채용으로 4명을 새로 뽑을 계획이다.

센터 직원들은 시가 일방적으로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시와 사회적경제기업 간 소통 창구 역할을 하며 시 업무를 6년 동안 맡았는데 협의조차 없었다는 이유다. 직원들은 기간제로 입사했더라도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2년을 초과해 근무한 근로자는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센터 관계자는 “2021년 민간에서 민간으로 수탁기관이 변경될 때도 직원들 모두 고용 승계가 이뤄진 일이 있어 나중에 수탁기관이 변경되더라도 고용 관계는 계속 이어나갈 것으로 봤다”며 “직원 절반이 2년 이상 일을 해왔고 길게는 6년 이상 근무한 직원도 있다. 부산 시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을 펼친다는 시가 공공기관으로 운영을 바꾸는 데도 직원을 해고하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고 말했다.

시는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운영을 위해선 기존 직원 고용 승계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에 따르면 올해 센터 운영비는 시비 8억 8100만 원으로, 이중 절반이 인건비로 나가고 사업에는 예산 30% 정도만 투입됐다. 내년도 센터 운영 예산은 6억 원으로 삭감된다. 또 직원은 민간 업체 소속이기 때문에 고용은 해당 업체가 책임져야 하며, 센터 직원으로 다시 일하기 위해선 공개채용에 응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민간에서 공공기관으로 바뀌는 경우 고용을 승계하라는 권고사항이 없고 원칙적으로 신규 직원은 공개채용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며 “센터 운영 효율화와 전문성 등을 고려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밝혔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