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민 염원 뜨겁다” 합천군 양수발전소 들어설까?
정부 양수발전소 우선순위 심사 코앞
합천군, 군민들 염원 앞세워 ‘유치전’
추진단 발족·궐기대회 등 적극 ‘어필’
정부 신규 양수발전소 우선순위 심사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경남 합천군의 유치 여부가 지역 최대 관심사가 되고 있다.
정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1.75GW(최대 2.1GW) 규모의 신규 양수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하고, 조만간 사업자 2~3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은 경남 합천군·경북 영양군, 한국중부발전은 경북 봉화군·전남 구례군, 한국동서발전은 전남 곡성군, 한국남동발전은 충남 금산군 등 4개 발전사, 6개 지자체가 양수발전소를 유치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을 펼치고 있다.
합천군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와 경제 저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국책사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양수발전소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우려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설명회와 간담회, 견학을 실시하는 등 유치활동을 펼쳐왔다. 실제 사업 추진 이후 사업설명회 27회에 1500명, 견학 35회에 1000명 등이 참여했으며, 주민이 직접 건설·운영 중인 발전소를 견학해 양수발전소에 대한 견문을 넓히고 유치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러한 노력에 합천 양수발전소 유치전은 전국적으로 보기 드문 ‘지역주민이 염원하는 사례’로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12월 양수발전소 유치에 대한 후보지역 묘산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양수발전소 유치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한 결과 찬성 72.9%의 결과가 나와 후보지를 결정했다.
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는 올해도 이어져 유치 청원 동의서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동의 서명률 83.98%를 기록하기도 했다.
또 유치청원 동의서 서명운동 참여, 궐기대회 동참, 거리 유치홍보, 기관사회단체 릴레이 유치홍보 등을 통해 양수발전소 유치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해 왔다. 지난 6월에는 지역주민과 사회단체 등의 자발적인 참여로 두무산 양수발전소 유치추진단이 출범했으며, 이어 열린 궐기대회에는 700여 명이 참여해 양수발전소 유치 염원을 드러낸 바 있다.
합천군 관계자는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양수발전소 유치전에 나서면서 군은 지역갈등 발생 요인을 최소화했고, 사회적 비용을 대폭 절감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군은 또 합천군이 대규모 양수발전소가 들어서는데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보고 정부 등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합천 양수발전소가 들어서면 합천댐 수력발전소와 전국 최대 수상 태양광발전단지, 태양광발전소 등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으로 분산된 에너지원의 집적화가 이뤄진다. 여기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벨트 구축도 가능하다.
또 지리적으로는 호남지역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따른 출력 변동성을 보완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여기에 지형적으로도 상부지는 양안 경사가 급하고 하상폭이 좁은 V자형 계곡, 하부지는 완만한 U자형 지형으로 900MW의 대규모 설비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전형적인 댐 건설 지형에 해당된다.
군은 양수발전소가 유치되면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별지원사업비, 기본지원사업비, 사업자지원사업비 등을 포함한 825억 원 이상의 지역발전 지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해마다 12억 원의 재산세, 지방소득세 등 장기적인 세수 확보도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했다. 이밖에 양수발전소 건설 이후에는 한국수력원자력(주)와 협력사 관계자 이주, 지역민 130여 명의 일자리 창출 등의 영향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양수발전소 주변지역 관광지 조성을 통해 새로운 지역관광산업이 육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가장 큰 기대효과로는 합천군의 생활인구 유입으로 지역소멸위기 극복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양수발전소 건립으로 지역발전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발전소 주변 주민 숙원사업의 지속적인 실시로 지역과 상생 협력하는 체계도 구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