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눈] 행정관청, 쉬운 용어를 썼으면
우리나라는 국민이 주인인 민주주의 국가이고 지역 주민이 정치에 참여하는 지방자치제 나라다. 그래서 무엇이든 주민이 우선이고 주민 생활이 편리해야 한다.
그런데 어떤 정치인이나 공직자는 선거철에만 주민을 우선시하는 듯하고, 막상 원하는 자리를 차지하고 나면 그 절실함이 다소 퇴색되는 느낌을 준다. 또 말이나 글도 공직자 자신만 알고 주민은 알기 어렵게 써서 어리둥절하게 한다.
정치권이나 공직자들이 쏟아내는 말이나 생산하는 문서를 보면 어려운 말이 무척 많다. 한자와 외국어를 자주 써서 도대체 무슨 말인지 선뜻 이해되지 않는 경우를 자주 접한다. 이를테면 ‘가지치기’로 해도 될 것을 ‘전지작업’으로 표현한다. 또 ‘제때’를 ‘적기’로, ‘다른’을 ‘상이한’으로, ‘이미’를 ‘기’로 표현하는 등 어려운 말을 자주 쓴다. 그 밖에도 비치한(마련한), 조성하다(만들다), 수립하다(세우다), 통지(알림), 잔여지(자투리땅), 수납하다(납부하다) 등 어려운 말이 수두룩하다.
어려운 말을 쓴다고 유식해지고 권위가 강해지는 것은 아니다. 세 살 먹은 어린이나 제대로 공부하지 못한 사람이 봐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표현하는 것이 진정한 민본주의다.
한글학회나 국어문화원 등에서 쉬운 우리말로 순화해 쓸 것을 권고하지만 대다수 공무원은 예사로 넘긴다. 공직자란 특권의식만 있고 애민 정신이 결핍돼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 헌장에 ‘공무원은 헌법이 지향하는 가치를 실현하며 국가에 헌신하고 국민에게 봉사하며 국민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한다’고 돼 있다. 공무원 헌장을 적극 실천해서 쉬운 말 쓰기를 꾸준히 노력했으면 한다.
박정도·부산 사하구 다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