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식품 수출, 2년 연속 30억달러 달성…김 수출액 사상 최대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작년 수산식품 수출액 30억400만달러…역대 2위 규모
김 7억 9100만 달러·참치 5억 6000만 달러로 수출 견인
해수부, 민‧관‧연 합동 ‘수산식품 수출원팀’ 구성 총력지원

우리나라 수산식품 가운데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인 ‘김’ 수출액이 지난해 연간 7억 9100만 달러(1조 200억 원)를 기록했다. 대형마트에 진열된 조미김. 연합뉴스 우리나라 수산식품 가운데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인 ‘김’ 수출액이 지난해 연간 7억 9100만 달러(1조 200억 원)를 기록했다. 대형마트에 진열된 조미김. 연합뉴스

고유가·고물가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우리나라 수산식품 수출액이 2년 연속 30억 달러를 달성했다.

해양수산부는 2023년 연간 수산식품 수출액이 30억 400만 달러로 2022년(31억 5000만 달러)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연간 30억 달러를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작년 수산식품 수출액은 역대 2위 규모다.

지난해 수산식품 수출실적은 김·참치·굴 등이 앞장서 이끌었다. 먼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대표 품목인 ‘김’은 지난해 12월 20일 기준으로 최초로 연간 7억 7000만 달러(1조 원)을 돌파한 데 이어 연말까지 총 7억 9100만 달러(1조 200억 원)의 수출 성과를 기록했다. 2022년(6억 4800만 달러)보다 22.2%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수산식품 수출 실적을 김·참치·굴 등이 앞장서 이끌었다. 사진은 굴. 부산일보DB 지난해 수산식품 수출 실적을 김·참치·굴 등이 앞장서 이끌었다. 사진은 굴. 부산일보DB

김에 이어 원양어업의 주력품목인 참치는 일본·태국 등에 원물 형태로 수출되며 5억 600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최근 해외에서 인지도가 조금씩 높아지고 있는 한국산 굴 수출액도 일본·미국 등을 대상으로 전년보다 8% 증가한 86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세계적인 수요 위축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선전했다.

해수부는 수산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지난해 초부터 정부와 5개 수산식품 수출지원기관(수협중앙회·한국수산회·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한국수산무역협회·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으로 민‧관‧연 합동 ‘수산식품 수출원팀’을 구성해 수출기업을 적극 지원해 왔으며, 장·차관이 직접 부산·인천·전남·충남 등 전국 수출 현장을 점검하고 지난해 12월 마지막까지 우리 업계와 수출현황 점검회의 등을 열어 수출에 총력을 기울였다.

이밖에도 지난해 중국 베이징(9월)과 부산(11월)에서 해외바이어를 초청해서 안전하고 우수한 우리 수산식품을 홍보하는 등 수출 확대를 지원해 왔다. 수출기업과 생산자 등도 수산물 생산과 수출유망상품 개발·산업화에 최선을 다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어려운 수출 여건 속에서도 기업과 생산자 여러분들을 비롯한 수산업계 모두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2년 연속 수산식품 수출 30억 달러 달성’이라는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며 “새해에도 지원 예산 확충을 기반으로 수출 성장세 회복을 위해 수출기업을 신속히 지원하고 현장으로 찾아가 긴밀히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