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큰 비용 없이 산재 줄일 수 있도록 맞춤 컨설팅" 양기준 한국안전(주) 대표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대표 재해예방기술 지도기관
안전 꼼꼼하게 살피기로 정평
공사 현장서 매뉴얼 점검·지도
울산·경남 지역까지 영역 확대

한국안전(주) 양기준 대표는 한국안전(주) 양기준 대표는 "아직까지 재해 발생률이 높은 부산에서 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한국안전 제공

한 해 2000명이 넘는 노동자가 현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는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 2년 차를 맞이하는 등 산업 안전에 대한 시대적 가치는 점차 커지지만, 재해 발생률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법과 제도만큼이나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통용되는 재해 예방 기술과 안전 매뉴얼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부산 북구 만덕동에 위치한 한국안전(주)은 부산을 대표하는 재해예방기술 지도기관이다.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공사금액 1억 원 이상의 건축, 설비, 플랜트, 토목공사 현장은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전문 지도기관으로부터 기술지도를 받도록 돼 있다. 한국안전은 현장 일선에서 각종 매뉴얼 등이 제대로 지켜지는지 점검, 지도하는 역할을 맡는다.

한국안전 양기준(57) 대표는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을 꼼꼼하게 살피기로 정평이 나 있다. 건설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소방안전기사 등 여러 자격증을 토대로 현장에서의 안전시설이나 가이드라인, 보호구 착용 등을 확인한다.

2003년 직원 6명과 함께 시작한 업체는 현재 25명으로 불어났다. 부산은 물론 울산과 경남의 작업장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데 성공했다.

처음부터 안전 지도 분야에 몸담은 것은 아니었다. 양 대표는 “일반적인 경영 분야에서 근무하다 자동차 부품 제조업 쪽으로 자리를 옮겼는데 그 일을 하면서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자주 목격했다”며 “매뉴얼만 제대로 지켰어도 발생하지 않았을 다양한 사고들을 보면서 안전의 가치에 주목하게 됐고, 프리랜서로 일하다가 창업을 결심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PF 등의 여파로 건설 경기가 침체돼 있지만, 한국안전은 지자체 등과 협력해 관급공사 현장 등에서 차곡차곡 실적을 쌓고 있다. 2022년에는 민간재해예방기관 평가 결과 최우수기관(S등급)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양 대표는 (주)한국안전진단이라는 법인을 통해 근로자뿐만 아니라 건축물 안전진단도 함께 시행하고 있다. 해당 건축물이 도면에 표시된 대로 제대로 잘 지어지고 있는지 진단하는 업무다.

양 대표는 지역사회 공헌에도 힘쓰고 있다. 부산 북구청에 기부금을 전달하거나 쌀을 보내며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도모한다. 양 대표는 “지역 곳곳의 현장을 누비다 보니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소외된 분들을 자주 보게 됐다”며 “큰 금액이라고 하기에는 부끄럽지만, 주머니 사정이 허락하는 대로 기부와 상생을 이어 나가고 싶다”고 전했다.

양 대표는 수도권에 비해 아직까지 재해 발생률이 높은 부산에서 할 일이 많다고 했다. 그는 “정부는 중대재해처벌법 등 법과 제도를 통해 산재 발생을 줄이려 하지만, 영세한 지역 업체들은 정부의 로드맵을 그대로 따라가기 힘든 부분이 현실적으로 있다”며 “큰 비용이 들지 않더라도 산재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방법들이 많다. 그런 업체들을 상대로 자체 프로그램을 개발해 주거나 책자를 만들어 배포하는 등 컨설팅 작업을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 대표는 또 “사업 확장과 동시에 후배 전문가 양성에도 힘을 기울여 건설 현장에서 더 이상 안타까운 사건사고 소식을 듣지 않을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