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워크아웃 무산 가능성… PF 불똥 확산 우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채권단 제시 조건 이행하지 않아
정부 긴급회의 파장 최소화 나서

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 본사. 연합뉴스 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 본사. 연합뉴스

태영건설의 앞날을 좌우할 ‘운명의 주’가 시작됐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제시한 ‘최후통첩’ 기한을 넘겼기 때문이다. 이에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 무산 가능성이 높아지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가 건설업은 물론 금융권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정부는 긴급 회의를 열어 관련 리스크를 점검하기로 했다.

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태영그룹은 전날까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자금 890억 원을 태영건설에 지원하지 않았다. 또 주요 계열사 매각 추진과 담보 제공 등 자구안 이행과 관련해서도 이사회 결의를 거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채권단이 워크아웃 개시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 내건 조항을 단 하나도 이행하지 않은 셈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7일, 아니면 늦어도 8일 새벽에라도 약속된 금액(890억 원)을 태영건설에 넣어야 한다”며 “이것이 해결 안 되면 아무것도 진행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시장에서는 태영건설의 법정관리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워크아웃 추진을 위해서는 태영 측의 진정성 등이 필요한데 현 상황에서는 오너가를 지키기 위한 행보만을 보여왔다는 이유에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4일 기자들과 만나 “채권단이 납득할 만한 자구안을 주말(6~7일)까지 내놔야 한다”며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자금과 관련해 오너 일가의 급한 일에 소진한 것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 직격한 바 있다.

이에 채권단은 기존 자구안 외에도 오너 일가의 사재 출연과 SBS·티와이홀딩스 지분을 활용한 유동성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태영 측은 티와이홀딩스 지분을 매각할 경우 경영권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난색을 표하고 있다. SBS에 대해서도 ‘가능성이 없다’는 취지로 일관해왔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무산 가능성이 높아지며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점검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8일 주요 금융지주 PF 담당 임원들과 은행연합회 관계자들을 소집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으로 인한 건설업계 발 구조조정 우려에 대한 대응책이 논의될 전망이다. 롯데건설과 동부건설 등은 금융권에서 제기된 PF 우발채무 우려에 대해 문제가 없다며 적극 해명에 나서는 등 시장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금융당국은 태영건설과 달리 다른 건설사들은 PF 위기를 맞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5일 PF 우발채무 우려가 롯데건설에도 제기됐다는 기자들 질문에도 “그렇게 되지 않을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한편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개시 여부를 최종 결정하는 채권자협의회는 오는 11일 열린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