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에 은둔형 외톨이 지원 거점센터 유치해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만 2500여 명 추정… 80%가 청년
소통·지원할 '희망의 사다리' 꼭 필요

부산시청 전경. 부산일보DB 부산시청 전경. 부산일보DB

은둔형 외톨이를 지원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의 부산 유치 필요성이 제기됐다. 부산연구원은 9일 부산에서 처음으로 은둔형 외톨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제시했다. 부산연구원이 제시한 기본계획은 부산시 차원에서 처음으로 마련된 5개년 계획으로 ‘은둔형 외톨이 지원센터 설치·운영’ ‘일자리를 통한 사회적 연결’ 등 5개 전략 과제를 담고 있다. 이와 함께 부산연구원은 전국 단위로 시행을 앞둔 보건복지부의 은둔형 외톨이 지원사업에 부산시가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부산연구원의 주문은 설득력이 있다. 보건복지부가 이달 중으로 전국 4개 시도에서 취약청년 지원 시범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은둔형 외톨이 거점센터’ 사업을 공모하기 때문이다.

부산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산에 거주하는 은둔형 외톨이는 최대 2만 2500여 명으로 추정된다. 이 중 20대가 37.0%, 30대가 44.1%로 부산 은둔형 외톨이의 81.1%가 청년이었다. 청년기는 성인기로 나아가기 위해 교육과 직업훈련이 이뤄지는 중요한 시기인데 교육과 고용의 단절은 만성적 실직, 빈곤, 건강 악화, 고독사 같은 또 다른 사회문제를 낳는다. 은둔형 외톨이가 극단적인 고립 상태로 방치되지 않기 위해서는 물리적·정서적 고립을 막고 이들을 사회에 재진입시키기 위한 지원 방안이 필수적이다. 소위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거점센터 같은 컨트롤 타워가 필요한 이유다.

부산의 은둔형 외톨이는 청년층에 집중돼 있다. 이들이 은둔에 들어가기 전부터 적절한 사회적 개입이 있으면 고립과 은둔을 얼마든지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은둔형 외톨이 문제를 조기에 해소하지 못하면 막대한 사회적 비용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 25세부터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은둔 청년의 생애 경제적 비용은 1인당 15억 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부산의 은둔형 외톨이 추정 인구로 환산하면 최대 34조 원이라는 막대한 비용이 든다. 이뿐만 아니라 개인적 문제를 넘어 범죄 등 사회 문제로도 표출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부산연구원의 거점센터 부산 유치 제안은 지역 사회의 희망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회다.

부산시는 2021년 7월 은둔형 외톨이 관련 조례를 제정했다. 정책적 관심은 비교적 빠른 편이었다. 하지만 구체적인 대책 마련은 그렇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은둔형 외톨이는 조기 발견과 개입이 중요하다. 다만 이미 고립 상태에 빠졌다면 당사자가 벗어나려는 의지를 가질 때에만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하다. 당사자가 고립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창구가 있어야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래서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 부산이 거점센터를 유치해 은둔형 외톨이들과 소통하고 그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희망의 사다리’가 됐으면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