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지진 안전지대 아냐”… 부산 시민단체, 원전 안전 검증 촉구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고리2호기 수명연장·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는 16일 부산시청 앞에서 '지진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 부산-시민안전 외면하는 부산시·부산시의회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범시민운동본부 제공 부산고리2호기 수명연장·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는 16일 부산시청 앞에서 '지진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 부산-시민안전 외면하는 부산시·부산시의회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범시민운동본부 제공

최근 일본 노토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7.6의 강진으로 원전에 대한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부산 지역 시민단체가 원전을 둘러싸고 철저한 안전검증을 요구하고 나섰다.

부산고리2호기 수명연장·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는 16일 오전 10시 부산시청 앞에서 ‘지진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 부산-시민안전 외면하는 부산시·부산시의회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은 부산YMCA 오문범 총장의 발언을 시작으로 시민햇빛에너지협동조합 구자상 이사장과 경성대 김해창 환경공학과 교수의 발언과 성명서 낭독 등의 순서로 이어졌다.

범시민운동본부는 최근 일본에서 발생한 노토반도 지진을 두고 “2016년 9월 규모 5.6의 경주지진, 2017년 11월 규모 5.4의 포항지진 등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며 “지진 발생으로 인해 원전 설비의 누적된 스트레스는 없는지 정밀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새해 첫날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반도를 강타한 규모 7.6의 강진 이후 인근 지역 원자력발전소 방사선량 계측기가 고장 나는 등 원전 주변 시설에 피해가 발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노후원전에 대한 안전점검이 필수라고 주장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에 따르면 1978년부터 42년간 원전에서 일어난 사고·고장 횟수는 760건에 달한다. 이 중 고리원전 일어난 사고·고장은 313건(41.2%)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우리는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그와 관련된 수많은 경미한 사고와 징후들이 선행된다는 ‘하인리히 법칙’을 잘 알고 있다”면서 “고리 2·3·4호기의 노후 원전에 대한 지진 보강에 대한 확인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부산시와 부산시의회가 시민 안전의 최대 현안인 원전에 대해 시민 의견을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부산시의회가 지난해 8월 구성한 시민안전특위에서 원전 현안을 배제하고, 박형준 부산시장 역시 지난해 4월 간담회에서 고리 2·3·4호기 노후원전 및 핵폐기장의 안전성과 수용성을 부산 지역 시민사회와 정치행정이 함께 검증하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시민안전특위 정상화와 부산시장의 약속 이행을 요구하며 “부산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전향적인 태도로 안전성과 수용성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함께 검증해 나갈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말했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