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맥 가격, 식당이 마트의 3배

박지훈 기자 lionki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소주·맥주 판매가 상승률 편차 커
출고가 내려도 현장선 요지부동
외식업계 “식재료·인건비 등 올라”

지난해 식당에서 판매하는 소주와 맥주 가격 오름폭이 대형마트·편의점 판매가 상승률의 3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주류업계의 출고가 인하로 마트와 편의점의 소주 가격이 최대 10% 내려갔지만 식당 판매가는 요지부동이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식당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6으로 전년 대비 6.9% 올랐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9.7%) 이후 25년 만의 최고치다.

대형마트·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가공식품 맥주 물가 상승률(2.4%)과 비교하면 2.9배에 달한다. 일반 가공식품 맥주 물가가 2.4% 오르는 동안 외식용 맥주는 약 3배인 6.9% 오른 것이다. 소주도 상황은 비슷했다. 지난해 소주(외식) 물가 상승률은 7.3%로 일반 가공식품 소주 물가 상승률(2.6%)의 2.8배에 이른다. 소주(외식) 물가 상승률은 2016년(11.7%)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았다.

주류업체가 출고 가격을 내리면 외식업체 납품가도 그만큼 낮아진다. 그러나 주류업체 출고 가격 인하가 현장에서 바로 반영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고물가에도 음식 가격을 올리기 부담스러운 식당에서 주류 가격에 이윤을 붙였다는 분석이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손님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음식값을 올리기 어려워 소주·맥주 가격을 올린 경우가 많다”며 “식재료 ,인건비, 임대료 등 부담이 가중돼 소주 출고가가 내렸다고 식당에서 눈에 띄게 가격을 조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 lionki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