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협회 “생산비 급증하는데 돼지고기 가격 하락…양돈농가 줄도산 우려”
생산성 하위 농가 1억넘게 적자 발생
손세희 회장 “정부 제도적 지원 필요”
대형마트 등에서 한돈 연중 할인판매
대한한돈협회가 고물가와 사료가격 급등 등의 상황 속에서 돼지고기 경락가격은 크게 하락해 양돈농가가 큰 위기에 빠졌다며 정부측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대한한돈협회와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는 2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24 한돈산업 위기대응’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돼지고기 소비 감소, 돼지고기 전 부위 재고 증가, 돈가 급락 등으로 한돈농가의 어려움이 배가되는 가운데 한돈농가에 대한 경영 안정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12월 중순 kg당 4000원 대 중반으로 하락한 돼지고기 경락가격은 1월 중순에 들어 4000원 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이에 반해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사료가격 폭등, 이자 부담 가중 등 생산비가 높아지면서 지난해 생산성 하위 30% 구간 한돈 농가의 생산비는 평균 kg당 5709원, 농가당 1억 4400만 원의 적자를 냈다.
2024년 1월 돼지가격이 kg당 4100~4300원으로 전망됨에 따라 1월 한 달에만 2700만~3100만 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 구간의 농가는 현금 유동성마저 크게 악화돼 도미노 도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한돈협회와 한돈자조금은 3월까지 대대적인 할인판매, 기업단체급식 지원, 시식회, 소비홍보 캠페인 등 자구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 한돈산업 회복을 꾀하기엔 역부족이라고 밝혔다.
손 회장은 “농가 수익 보장 및 수급 안정을 위해선 대대적인 판매 촉진으로 한돈 소비량을 늘리고 이와 함께 생산성 향상 및 농가경영 여건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한돈협회는 정부측에 2024년 양돈용 특별사료구매자금 신설 및 기존 구매자금의 상환 기간 연장, 축사시설현대화기금 등 정부정책자금 상환 기간 1년 연장 및 한시적 무이자 지원을 요구했다.
또 경영부담이 심화된 한돈농가를 대상으로 전기요금 일부를 한시 지원하고, 계절별 차등요금 적용대상에서 농사용 고압을 제외하는 방안을 건의했다.
손 회장은 자체적인 대책 방안에 대해서도 발표했다. 먼저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정육점(한돈인증점), 농협 하나로마트, 한돈몰 등 주요 대형마트 및 정육점 등에서 최대 50%까지 전국 동시 할인행사를 연중 실시할 방침이다.
한돈협회 손세희 회장은 “돈가 하락, 사료가격 폭등, 생산비 급증, 소비침체 등으로 한돈농가의 가장 큰 위기가 도래한 가운데, 한돈농가의 수익 및 수급 안정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