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구리로 만든 구명조끼, 체온 유지·위치 추적에 효과” 정광현 코리아오션텍 대표

김상훈 기자 neat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상용 기능성 원단·의복 제작기술
최근 ‘해양수산 신기술’ 인증 받아
6월 국제해양안전 전시회에도 참가
“해상 인명 사고 감소에 도움됐으면”

“지난달 경남 통영 해역에서 어선 전복과 침몰 사고가 일어난 것처럼 해양 종사자들의 매년 익수사고 발생 건수는 평균 300건에 달합니다. 해상 추락 시 저체온으로 인한 사망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해양안전장비 연구개발·컨설팅업체인 (주)코리아오션텍 정광현 대표의 얘기다. 그의 말처럼 겨울철 수온이 낮은 상태에서 익수자들의 생존시간은 급격히 줄어든다. 국제해상수색구조 매뉴얼(IAMSAR)에 따르면, 익수자 50% 정도는 20~30도 수온에서 24시간 이상 생존한다. 반면 15도일 때 생존시간은 약 6시간, 10도일 때는 약 2시간으로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 대표는 해상 종사자들이 익수 사고를 당하더라도 저체온을 막고 건강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기능성 의복과 구명조끼가 필요하다고 오래 전부터 생각해왔다. 그는 2020년부터 신기술 구명조끼 개발에 착수해 지난해 7월 성공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구리연사를 활용한 해상용 기능성 원단 및 의복 제작기술’로 해양수산부로부터 ‘해양수산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

“2014년 (주)코리아오션텍(부산 동구 초량동)을 설립해 터미널 화물 안전관리, 해양오염 방지, 해양안전장비 연구개발 등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지난 10년간 연구개발에 매진했는데, 이제는 상품화와 마케팅에 중점을 두고 인명 안전 관리, 화재 예방 관리, 오염 재난 관리 장비 개발과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겠습니다. 구명조끼 제작업체에서 구리 연사를 활용한 신기술 구명조끼에 대해 문의를 해서 시제품 생산에 들어갔습니다.”

정 대표는 “구리의 특성을 잘 활용해 보온 효과를 높인 신기술 구명조끼가 익수 사고 발생 시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는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생존율을 높여 인적 안전 확보에 기여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신기술 구명조끼는 몸에서 나오는 미세전류가 조끼에 흐르면서 체온 유지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일반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바다에 빠지면 10분 이내에 체온이 수온과 같게 되지만, 신기술 구명조끼는 체온을 유지하게 한다. 장점은 또 있다. 인체 미세전류 전도로 인한 혈류 개선으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해상 추락 등 사고 발생 시 선박 레이더를 활용해 정확한 익수자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수색·구조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한다. 향균, 탈취 효과가 있어 세탁이 불필요해 편리성도 높다.

“이런 장점을 바탕으로 겨울철 해상 근무 작업복, 해양레저 의복, 구명안전 설비, 해군·해경 방한복 등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탁월한 레이더 식별력으로 인해 위장 탱크 제작업체의 수요도 기대됩니다. 오는 6월 인천에서 열리는 국제해양안전 전시회에도 나가서 제품을 대중에 알릴 계획입니다.”

코리아오션텍은 ‘구리 연사를 활용한 해상용 기능성 원단 및 의복 제작기술’을 비롯해 ‘이중관을 이용한 선박 밀폐 탱크 내 유해물질 배출 기술’ ‘ON/OFF 영구자석을 이용한 선박 승·하선 사다리 고정 기술’ ‘선박용 자동소화 캡슐 내장형 전선연결단자 제조 기술’ 등 총 4건의 해양수산 신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 제품인 ‘선박 파공 방수 패드/캡’은 선박 파공 발생 시 선박의 인명 안전과 환경 보호에 효과가 있어 해군, 해경과 각 선사에서 방수용 제품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올해 초 필리핀과 수출 계약을 했고, 내년에는 인도네시아에도 수출을 할 계획이다.

정 대표는 유류터미널 안전관리업체 (주)포앰과 내항유조선안전관리업체 (주)포마린도 운영하고 있다. ‘해양수산과학기술대상’ 우수상 시상금을 (사)부산아동복지후원회와 (사)부산국제장애인협의회에 기부하는 등 사회공헌 활동도 펼치고 있다.

정 대표는 “최고의 안전장비 개발과 안전 컨설팅 제공을 목표로 세계적인 해양기업에 도전하겠다”고 강조했다.

글·사진=김상훈 기자 neato@busan.com


김상훈 기자 neat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