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뒤, 인구 100명 중 6명 외국인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42년 4963만 명으로 줄어
285만 명까지 외국인 늘어날 듯

제22대 국회의원선거일인 10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을 찾은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들이 고궁 관람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 제22대 국회의원선거일인 10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을 찾은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들이 고궁 관람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

앞으로 20년 뒤면 국내 인구 중 외국인 비율이 약 7%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현재 추세가 가속화한다면 생산연령인구 10명 중 1명은 외국인 인구가 되는 것으로 관측됐다.

통계청은 1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내·외국인 인구추계 2022~2042년’을 발표했다. 통계청은 장래인구 추계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3개 시나리오(중위·고위·저위)를 만들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총 인구는 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2022년 5167만 명에서 2042년 4963만 명으로 감소한다. 반면 외국인 인구는 165만 명에서 285만 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내국인 구성비는 96.8%→94.3%로 줄어들고 외국인 구성비는 3.2%→5.7%로 높아진다.

특히 고위 시나리오 추정치에서는 외국인 인구는 361만 명, 비중은 6.9%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같은 변화는 생산연령인구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내국인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이 기간에 3527만 명에서 2573만 명으로 급감했다. 반대로 외국인 생산연령인구는 147만 명에서 236만 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고위 추계 기준으로는 우리나라 전체 생산연령인구 중 외국인 비율이 10.1%까지 올라간다.

한편 본인 또는 부모 중 적어도 한명이 외국 국적인 사람을 뜻하는 이주배경 인구는 이 기간에 220만 명→404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에 따라 총인구 중 이주배경 인구 구성비는 4.3%→8.1%로 늘어나게 된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