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키시마호 승선 명부 확인, 한일 시민사회 힘 합쳐야”
국회서 진상규명 대응 토론회
한국 정부 명부 확보 노력 촉구
양국 공동조사 TF 구성 제안
일본 상대 소송 제기 필요성도
80년 가까이 미제로 남은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과 관련, 진실 규명을 위해 한일 공동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토론회가 국회에서 열렸다.
우키시마호사건 헌법소원청구인대표자회는 17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제7간담회실에서 ‘강제동원 귀국선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 진상규명 한일 공동 대응과 전략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달 2일 일본 저널리스트 후세 유진 씨가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정보공개 청구를 진행해 우키시마호 기타 승선자 명부를 확보해 〈부산일보〉 등 언론에 공개한 일을 계기로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명부 발견을 계기로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의 ‘실체적 진실 규명’이라는 묵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를 대변해 온 대한변호사협회 일제피해자특별인권위원회 최봉태 변호사는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 확보는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을 재조명하는 새로운 시작”이라며 “한국 정부는 구체적 방법이나 일정을 수립해 하루라도 조속히 명부를 입수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일단 명부가 입수되면 진상 규명 문제는 한일 양국 간 국제적 현안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승선자 명부가 언제 누구에 의해 작성됐는지, 후생노동성은 언제부터 이를 보관해 왔는지 등을 규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통해 양국 정부 차원에서 공동조사 TF를 결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보탰다.
추가적인 승선자 명부 등 일본 정부가 숨기고 있는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선 일본 정부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여가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일본 저널리스트 후세 유진 씨는 “일본 후생노동성은 현재 보관하고 있는 우키시마호 관련 700건의 공문서를 모두 즉시 공개해야 하고, 여태 승선자 명부를 은폐해 온 이유를 명백히 밝혀야 한다”며 “현안이 되고 있는 명부조차 공개하지 않는다면,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이 고의적 폭침 범죄였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일본 정부가 승선자 명부 공개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유지한다면 법적 대응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토론회에 참석한 일본 변호사 야마모토 세이타 씨는 “일본 정부가 공개하지 않고 있는 문서에 대해서는 정보공개법상 소송으로 다퉈볼 여지가 충분하다. 법적 절차에 따른 완전한 정보 공개를 목표로 한일 시민사회의 관심과 힘을 합쳐야할 때”라고 말했다.
한국뿐 아니라 일본 정치권에서도 승선자 명부 공개에 대한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일본 사회민주당 대표 후쿠시마 미즈호 의원은 일본 정부가 보유한 승선자 명부를 한국에 제공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수천 명의 한국인 강제 징용자를 태운 ‘해방 귀국선’ 우키시마호는 1945년 8월 24일 일본 마이즈루 앞바다에서 선체 폭발과 함께 침몰했다. 일본 정부는 과거 유족과의 소송에서 승선자 명부가 배 침몰과 함께 사라졌다고 주장했지만, 최근 정보공개 청구에 응해 10여 종의 명부를 공개했다. 다만 이름, 생년월일, 본적지 등은 개인 정보라는 이유로 가렸다. 승선자 등 ‘명부’라고 이름 붙은 자료가 무려 70개가량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글·사진=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