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체제' 길 터준 정점식 사의…"대통령실 논의 없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친윤' 정점식, 정책위의장 사의
"당 분열 막기 위해" 입장
대통령실 논의 질문엔 "없었다"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오른쪽)와 정점식 정책위의장이 1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오른쪽)와 정점식 정책위의장이 1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친윤(친윤석열)계로 분류되는 국민의힘 정점식 정책위의장이 1일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한동훈 당 대표 체제의 주도권이 한층 강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 정책위의장은 사퇴와 관련, 대통령실과의 논의가 있었냐는 질문에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정 정책위원장은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시간부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직에서 사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동훈 대표가 전날 임명직 당직자들을 상대로 일괄 사의 표명을 요구한 데 대해 하루 만에 부응한 것이다. 지난 5월 12일 취임한 지 두 달여 만이다.

다만 정 정책위의장은 한 대표가 자신을 교체할 권한은 없지만 당 내홍을 피하기 위해 용퇴한다는 취지의 입장을 남겼다.

정 정책위의장은 이어 "의원총회 추인을 받아서 선출된 후임 정책위의장께서 추경호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을 잘 이끄셔서 2년 후 있을 지방선거, 3년 후 있을 대통령 선거에서 꼭 승리해 정권 재창출의 기틀을 마련해 주시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정책위의장은 "마음을 갑자기 바꾼 건 아니고, 제가 사임에 대한 당 대표 의견을 들은 게 어제 오후 2시고, 그 직후 사무총장이 공개적으로 '당 대표가 임명권을 가진 당직자들은 사퇴하라'는 말을 들었는데 그 이후 고민을 많이 하고 원내대표와 상의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정 정책위의장은 결정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전혀 그런 것 없다. 저와 원내대표가 계속 상의했고, 어제 고민한 게 당헌의 문제"라며 "사무총장은 '당 대표가 임면권을 가진 당직자는 모두 일괄 사퇴하라고 얘기했는데, 당헌상으로는 당 대표는 정책위의장에 대한 면직권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또 "정책위의장은 당 대표가 원내대표와 협의해 의총 추인을 받아서 임명한다고 규정돼 있고, 임기를 1년으로 규정했다. 당헌상 임기가 규정된 보직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이 4개 보직이 유일하다"며 "그렇기 때문에 정책위의장은 당 대표가 면직권을 행사할 수 없다. 대표가 임면권을 가진 당직자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 대표가 정책위의장 '임면권'이 있다고 밝힌 데 대해 동의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간담회에 배석한 추경호 원내대표는 후임 정책위의장 후보를 추천할 거냐는 질문에 "제가 알아서 당헌·당규에 따라 잘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