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여야 대표 만남 통해 민생 위한 협치 모색해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힘·민주당 신임 대표 공식 회담 합의
무한 대치 중단·정치 복원 계기 만들길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 3월 1일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5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 3월 1일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5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극한 대립의 도돌이표 함정에 빠져 국민 피로감이 가중된 가운데 모처럼 대화 국면 전환이 모색되고 있어 주목된다. 각각 신임 대표 체제가 출범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공식 대표 회담을 갖기로 하고 의제를 협의 중이다. 야당의 대표 회담 제안을 여당이 즉각 수용하면서 출구가 보이지 않는 강 대 강 대치를 푸는 실마리를 찾을지가 포인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안한 윤석열 대통령과의 영수회담도 갈등 정국에서 주요한 변수다. 대내외 상황을 감안할 때 정치가 중심을 잡고 위기를 헤쳐나가야 할 때다. 대치를 협치로 전환하는 모멘텀을 찾아야 한다. ‘정치의 시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한동훈·이재명 대표는 25일 국회에서 대표 회담을 갖기로 했다. 한 대표는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와 종합부동산세 완화, 상속세 개편 등에 우선 순위를 둔다. 반면 이 대표는 회담을 제안할 때 채상병특검법이 의제라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이밖에 ‘전국민25만원지원법’도 테이블에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견이 뚜렷하지만 이 대표가 ‘먹고사니즘’을 강조하며 나섰고, 한 대표는 채상병특검법 조건부 수용을 주장했던 만큼 대표 회담이 빈손으로 끝나지는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 ‘빨리 만나자’는 여야 대표의 바뀐 모습만으로도 체증이 내려가는 듯한 게 국민들의 솔직한 심정이다. 국민을 실망시켜서는 안 된다는 점 명심해야 한다.

이 대표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의제를 제한하지 않는 윤 대통령과의 만남도 제안했다. 벼랑 끝 대치 중이던 여야 대표의 만남이 급물살을 타는 것처럼 제1야당 대표와 대통령도 민생 해결에 필요하다면 못 만날 이유가 없다. 이미 국민의힘은 소모적인 정쟁을 중단하고 여야와 정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민생법안을 처리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그 출발점이 영수회담이 되고, 여야 대표 회담이 가속 페달이 되어 얽힌 실타래를 푸는 반전의 계기가 된다면 더할 나위가 없다. 국민연금 개혁과 반도체산업 지원 등 정부안을 놓고 여야가 합의 처리하는 선순환은 대통령실의 의지에 달려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거대 야당이 주도하는 특검·청문회 국면과 대통령의 거부권이 충돌하는 사이 우리 정치는 바닥을 알 수 없는 추락을 거듭했다. 소통과 협치를 외면하면 모두가 패자가 된다는 값비싼 교훈은 이제 충분하다. 집권 여당을 이끄는 한 대표는 물론이고, 의회 권력을 쥔 야당 대표에 연임된 이 대표의 어깨에 민생에 대한 무한한 책임이 있다. 윤 대통령도 의회와 협력하지 않으면 국책은 길을 잃게 된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정치가 복원돼야 민생도 챙겨진다. 그러기 위해서는 치킨 게임은 끝내고 여야정이 수시로 만나고 대화해야 한다. 국민들은 수권 능력 경쟁을 바란다. 불통과 비타협만 고집하는 세력은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