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ETF 주간 수익률 최대 '40%'…전문가 "부양책 신뢰는 시간"
중국 경기 부양에 대한 기대감으로 중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가 ETF 주간 수익률 1∼5위를 싹쓸이했다.
1일 코스콤에 따르면 지난주(9월 23∼27일) ETF 수익률 1위는 'TIGER 차이나 항셍테크 레버리지(합성H)'로 40.68%를 기록했다.
2위는 'TIGER 차이나 전기차 레버리지(합성)'(37.43%)였으며 'TIGER 차이나 CSI300 레버리지(합성)'(31.76%), 'ACE 중국본토 CSI300 레버리지(합성)'(31.60%), 'KOSEF 차이나A50 커넥트 레버리지 MSCI(합성H)'(30.33%) 등이 뒤를 이었다.
수익률 상위 1∼5위가 모두 중국 관련 ETF다. 이는 최근 중국 정부가 발표한 대대적인 경기 부양책 영향으로 보인다.
중국인민은행(PBOC)은 지난달 24일 은행 지급준비율(RRR·지준율)을 50bp(1bp=0.01%포인트) 낮추고, 기준금리에 해당하는 대출우대금리(LPR)와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 모기지(주택 담보 대출) 금리를 모두 인하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중국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300 지수는 한 주간 15.7% 급등했으며, 항셍테크지수는 20.2% 올랐다.
증권가에선 일단 중국 정부의 정책 의지를 기대해볼 만하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유진투자증권 허재환 연구원은 "디플레이션 및 제품 가격 하락 압력 등 중국 내부 사정이 나빠진 결과에 따른 것"이라며 "중국 정부가 추가적인 금리 인하와 재정 확대까지 시사했다"고 평가했다. SK증권 조준기 연구원도 "중국 정부가 행하고 있는 정책의 강도와 적극성, 그리고 한껏 너그러워진 중국에 대한 시장의 눈높이를 감안할 경우 단기적으로는 조정 나올 경우 매수가 유리한 구간으로 생각한다"고 예상했다.
다만 이번 부양책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중국 정부의 부양 정책에 대한 신뢰가 쌓이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지적이다. 중국의 고질적인 부채 부담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하나증권 김경환 연구원은 "중국 증시 반등과 부양책이 실제 펀더멘털에 대한 확신으로 연결되려면 (2025년) 상반기까지 경기·가격 신호 등락과 함께 인내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