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교통 선거 키워드 주거·보육
금정구청장 보궐선거 여야 승부수
김경지, 정치력으로 침례병원 해결
광역철도·노포정관선 신설 추진
윤일현, 재개발 속도 높일 법 개정
안전한 통학로·특화 교육 브랜드
10·16 금정구청장 보궐선거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여야가 ‘승리의 키워드’를 앞세워 표심몰이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김경지 후보는 ‘의료’와 ‘교통’을, 국민의힘 윤일현 후보는 ‘주거’와 ‘보육’을 승부수로 띄웠다.
민주당 김 후보는 제1공약으로 침례병원의 건보공단 직영 보험자병원 전환을 내세웠다. 2017년 침례병원이 폐원한 이후 이어진 금정구의 의료 공백을 해결하겠다는 약속이다. 현재 이 안건은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 상정까지 진행된 상황이다.
김 후보는 “침례병원이 다시 문을 열기까지는 수많은 행정 절차가 남아 있고 이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국회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민주당의 정치력이 필요하다”며 “출범식 당일 민주당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등을 현장으로 불러들인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의료’ 공약와 더불어 김 후보는 ‘교통’에도 무게를 뒀다. 금정과 경남 양산, 울산을 잇는 광역철도와 노포정관선을 신설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는 “부울경의 중심인 금정구의 지리적 이점을 살리고 인구가 유출되고 있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유동 인구부터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민주당 메가시티추진특위 위원장을 맡았던 김 후보는 부울경메가시티 프로젝트 파기 당시 가장 극렬하게 반발했던 인사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국민의힘 윤일현 후보는 ‘주거’와 ‘보육’을 핵심 키워드로 내세웠다. 그는 유해 환경이 없고 아이 키우기 좋은 명품 도시 금정의 위상을 되살리겠다며 유권자를 설득하는 중이다. 윤 후보의 ‘주거’ 공약의 핵심은 금정구 구도심 일대에서 진행 중인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속도를 높이는 데 있다. 방치된 정비구역을 내버려두면 지속적인 인구 유출과 주거환경 악화를 막을 수 없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윤 후보는 “재개발 사업에 속도를 붙이기 위해 주택정비법 시행령 개정이 필요한 시점이어서 오늘 금정구를 찾은 한동훈 대표와 정책 협약을 맺었다”면서 “공공기여 주택의 경우에도 비율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게 아니라 사업성이 열악한 사각지대는 별도의 비율로 차등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윤 후보는 ‘보육’을 위해 안전한 통학로 조성과 금정구에 특화된 교육 브랜드 론칭 등을 약속했다. 9대 시의회에 입성해 줄곧 교육위원회에서 활동한 그는 “부산시와 연계한 긴급돌봄 서비스 등을 타 시도보다 선제적으로 실시해 보육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두 후보가 금정구 현장에서 유세 혈전을 벌이는 사이 여야 부산시당은 침례병원 공공화를 놓고 책임 공방전을 이어갔다.
금정구가 지역구인 국힘의힘 백종헌 의원은 지난 8일 국회 보건복지위 국정감사에서 침례병원 보험자병원 전환의 최종 협의 단계인 건정심 연내 상정에 대한 대답을 이끌어내며 윤 후보를 지원했다. 백 의원은 상정 촉구에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부산시와 몇 개의 남은 쟁점을 빨리 협의해 연내 건정심에서 논의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을 내놨다.
이에 민주당 부산시당은 9일 ‘민주당이 공약 숟가락 얹기를 했다는 건 어불성설’이라며 성명을 내고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 시당은 “국민의힘은 지난 8년간 침례병원을 방치해 놓은 상태였고 부산시가 침례병원 부지를 매입한 것도 민주당 시의원이 절대다수였던 8대 부산시의회가 주도한 일”이라며 “이를 국민의힘 성과로 포장하는 후안무치함을 반성하라”고 비판했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