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빚투의 여파…가계대출 급증 30대 이하가 주도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 자료
신용도 높을수록 증가세 가팔라
최근 5년 간 가계대출 증가세가 신용 점수가 높은 차주와 30대 이하를 중심으로 크게 늘어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신용 점수 840점 이상의 고신용자 가계대출 잔액은 총 1458조 9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신용 점수 665~839점의 중신용자 가계대출 잔액(330조 9000억 원)이나 664점 이하의 저신용자 가계대출 잔액(69조 5000억 원)보다 월등하게 많은 수치다.
특히 신용도가 높을수록 가계대출 증가세도 가팔랐다. 고신용자 가계대출 잔액은 5년 전인 2019년 상반기 말 1165조 5000억 원에서 올해 상반기 말 1458조 9000억 원으로 25.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신용자 가계대출 잔액이 356조 6000억 원에서 330조 9000억 원으로 7.2%, 저신용자 가계대출 잔액이 87조 1000억 원에서 69조 5000억 원으로 20.2% 각각 감소한 것과 대조된다.
1인당 평균 가계대출 잔액의 경우도 올해 상반기 말 기준 고신용자는 1억 1083만 원, 중신용자는 6749만 원, 저신용자는 4204만 원으로 신용도에 따라 차이가 컸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연령대별 가계대출 잔액을 보면, 40대가 536조 2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30대 이하가 496조 3000억 원, 50대가 457조 원, 60대 이상이 369조 7000억 원 등으로 뒤를 이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30대 이하 대출 잔액 증가 폭이 98조 9000억 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60대 이상 84조 2000억 원, 40대 64조 8000억 원, 50대 1조 1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1인당 평균 가계대출 잔액은 40대가 1억 1573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50대는 9747만 원, 60대 이상은 8614만 원, 30대 이하는 8128만 원 등이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