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높이려면 소득 재분배해야”
조세제도 개편 필요성 제기
소득불평등이 출산율에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출산율을 높이려는 정책을 만들 때 소득재분배와 출생지원책을 연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14일 이종하 조선대 교수는 지난 11일 열린 재정정책포럼에서 1990∼2020년 소득 불평등과 합계출산율 및 혼인율 등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냈다. 그 결과, 지니계수와 출산율 및 혼인율 간의 유의미한 음(-)의 관계가 형성됐다. 개인 간 소득 불평등이 악화할수록 출산율과 혼인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니 계수는 소득 불평등을 보여주는 지표로 0에 가까울수록 평등,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의미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7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니계수와 출산율은 음(-)의 관계를 형성했다.
실제 분석 기간 우리나라 출산율과 혼인율은 하락하고 소득 불평등은 악화하는 양상이었다. 지니계수는 2020년 0.444로 OECD 평균(0.498)보다는 낮았다. 다만 30년간 지니계수가 0.080 올라 OECD 평균(0.046)보다 악화 속도가 2배 빨랐다.
이 교수는 국내외 선행연구들도 소득 불평등 심화가 출산율 하락을 불러온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는 소득 불평등 심화가 저출생의 원인 중 하나라는 인식이 미흡해 소득 불평등 개선을 목적으로 한 정책은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그 일환으로 조세제도를 기존 개인 단위에서 가구 단위로 개편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