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일로 창원 상남시장, 49층 주상복합 재건축 추진
상남시장 재건축 추진 설명회 개최
경관지구 묶여 상가·오피스텔 개발
상인 동의 추진 중, 8년 뒤 준공 목표
시 “시장 폐지·개발 수익금 공공 환수”
경남 창원시 대표 전통시장인 ‘상남시장’이 49층짜리 주상복합 시설로 탈바꿈해 반등을 노린다. 창원 최대 번화가인 상남동 복판에 자리 잡았지만, 건립 20여 년이 지나 시설이 노후한 데다, 주변에 백화점, 대형마트가 들어서면서 손님 발길이 끊기자 내놓은 고육책이다.
상남시장재건축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20일 대한적십자 경남지사 3층 강당에서 상남시장 상인 140여 명을 대상으로 ‘상남시장 재건축 추진 계획 설명회’를 열었다. 상남시장 일대 9553㎡(2890평)를 지하 6층에 지상 49층의 상가·오피스텔(2개 동) 3개 동으로 재건축하는 게 핵심이다.
특히 해당 지역이 시가지경관지구로 묶여있어 아파트·주상복합이 아닌 오피스텔 형태로 밑그림을 그렸다. 오피스텔 주타워는 102·84㎡, 수익형 오피스텔은 36㎡ 구성이다. 건물 내엔 영유아돌봄센터와 호텔식 공유주방, 골프연습장, 헬스장 등 주민복지 시설을 대거 확보할 예정이다. 상가는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의류매장과 이벤트 홀, 창작 시설 등을 배치해 전통시장이 주는 낡은 이미지를 탈피한다는 계획이다.
상인들은 지난 1월 사업시행법인으로 (주)상남시장재건축을 설립하고, (주)더플랜을 업무대행사(PM)로 지정했다. 이를 토대로 상남시장 각 호실 소유자에게 재건축 동의에 나선 상태다. 상남시장 내 상가 580여 호실 구분 소유주 400여 명 중 5분의 4가 동의하면 착수가 가능하다. 이후 지구단위계획 변경, 건축심의 등 인허가, PF대출 등 절차를 거친다. 준공 목표는 착수 후 8년 뒤다.
구분 소유자에게는 각 호실 면적과 동일한 새 건물 상가를 제공한다. 평당 감정평가액이 높은 순으로 원하는 자리 선택권을 준다. 재건축 사업 위험 부담에 대한 대가로 청산 시 수익금의 35%를 PM사에 인센티브로 지급하고, 나머지 65%를 구분 소유자 면적 비율에 따라 수익배당금을 나누게 된다.
추진위 관계자는 “전통시장의 건물이 노후화돼 공실도 많이 생기고 해서 재건축이 필요하다는 것에 상인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다”면서 “연세가 많은 상인들은 차후 자녀에게 증여하는 방법까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남시장은 1999년 9월 말 경남 최대 상업지구인 상남동 중심에 지하 1층에 지상 3층짜리 규모로 지어졌다. 지금은 330여 명의 소상공인들만 실제 영업 중으로 공실률이 40%를 넘는다. 시설이 오래된 데다 과거에 없던 백화점·대형마트 등이 지척에 잇따라 생겨나면서 손님 발길이 뜸해지면서다.
음식점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낡은 시설에 관리·유지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 상황”이라며 “실제 인허가 과정이 긴 것이지 공사를 시작해 영업을 못 하게 되는 건 3년 6개월 정도라고 한다. 이렇게 죽으나 저렇게 죽으나 일단 시장 상인들이 살아갈 방법을 찾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창원시는 재건축 신청이 접수되면 해당 내용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아직 협의나 신청이 들어온 게 전혀 없다. 어제 설명회 개최 소식을 접하고 담당 부서에서 내용을 파악 중”이라며 “시장을 폐지하고 오피스텔을 지을 수는 있지만 그 수익금은 가져갈 수는 없는 구조다. 시장 폐지에 대한 지가(토지 가격) 상승분은 공공기여금으로 환수돼야 하는 게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