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형 시니어 일자리 대책, 고용의 질이 관건이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난달 60세 이상 취업자 역대 최대
구인-구직 부조화 해결에 성패 달려

지난달 우리나라의 60세 이상 취업자가 전체 23.4%로 역대 최대치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부산시민공원에서 열린 2024년 부산 50+일자리 박람회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 지난달 우리나라의 60세 이상 취업자가 전체 23.4%로 역대 최대치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부산시민공원에서 열린 2024년 부산 50+일자리 박람회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

지난달 우리나라의 60세 이상 취업자가 전체 23.4%로 역대 최대치였다고 한다. 그다음이 50대로 23.3%였다. 50·60대가 전체 취업자 비중의 거의 절반에 달한다. 이어 나이순으로 40, 30대로 내려가는데, 가장 젊은 층인 20대는 12.4%에 불과했다. 22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내용이다. 장노년층 급증과 청년층 격감이라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를 보여 주는 완벽한 역피라미드 형태가 아닐 수 없다. 청년층 일자리 못지않게 이제는 장노년층의 고용 정책에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초고령도시 부산시가 23일 내놓은 장노년 일자리 대책도 이런 측면에서 일단 주목된다.

2차 베이비붐 세대(1964~74년 출생)의 법정 정년이 올해부터 본격화하면서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큰 변혁기를 맞고 있다. 현장에서는 숙련된 인력이 대거 빠져나가고 있지만 공백을 메울 대체 인력은 여전히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저출생과 고령화의 영향이 크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구직과 구인 간 심각한 부조화 현상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의 취업자 통계에서 보듯이 60세 이상의 취업 비중이 갈수록 더 늘 수밖에 없다면 관건은 결국 구직-구인 부조화 문제의 해결이다. 부산시의 대책도 이를 감안해 통합 플랫폼 구축과 맞춤형 일자리 제공에 초점을 맞췄다. 고용 정책의 방향은 대체로 무난해 보인다.

구인-구직 부조화 해결의 첫 단추는 관련 정보의 통합과 배분이 가장 중요하다. 시는 우선 정부의 ‘고용24(워크넷)’와 연계해 여러 관련 기관에 산재한 구직 정보를 한데 모은 ‘부산 일자리 플랫폼’을 내년부터 가동한다. 구인 측면에서는 장노년층 고용을 원하는 기업을 위해 전문가 인력풀인 일명 ‘부산의 베테랑’을 구성하겠다고 했다. 구인-구직 창구를 일원화한 통합지원 체계, 곧 컨트롤 타워인 셈이다. 또 대학과 연계해 채용을 전제로 한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도입도 밝혔다. 전국 대도시 중에서 장노년 인구가 4명 중 1명꼴로 가장 많은 부산의 특성을 고려하면 시가 마련한 정책과 프로그램은 긍정적으로 볼만하다.

시가 내놓은 일자리 통합지원 체계의 성패는 최종적으로 부산 장노년층의 질 좋은 일자리 창출 실적에 달려 있음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 전국에서 처음 구축한 시스템이라는 시의 홍보도 성과가 없다면 말짱 도루묵이고 말장난에 불과하다. 부산에는 이미 20곳이 넘는 고용 지원 기관이 있다고 한다. 시민들은 기존 기관들의 업무와 이번에 발표된 시의 지원 체계가 어떤 점을 개선한 것인지 잘 알지 못한다. 굳이 알 필요도 없다. 시가 또 번듯한 계획만 남발한 것인지 아닌지는 시민들이 오직 성과만으로 판단할 뿐이다. 장노년층의 전문성을 살린 맞춤형 고용이 늘고 기업들의 전문 인력 부족이 해소된다면 이것이 바로 성공일 것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