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격화하는 윤·한 갈등… 국민은 안중에도 없다는 건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당 대표 ‘정면 돌파’, 대통령 ‘마이웨이’
국정 수렁… 국민들 인내심 한계상황

한동훈(가운데) 국민의힘 대표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확대당직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가운데) 국민의힘 대표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확대당직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간 갈등이 정면충돌로 치닫는 양상이다. 21일 회동이 결실 없이 끝난 뒤 한 대표는 23일 “김건희 여사 관련 국민 요구를 11월 15일 전에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선거법 위반·위증 교사 사건 1심 선고 즈음을 김 여사 관련 조치의 데드라인으로 제시하며 윤 대통령을 압박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여전히 요지부동이다. 엊그제 회동에서 김 여사 관련 3개 요구안을 사실상 거부한 데 이어 여당 대표의 발언에 귀를 닫고 ‘마이웨이’를 걷고 있다. 당정 갈등이 풀리기는커녕 갈수록 격화하는 집권 세력의 내홍은 ‘점입가경’이라는 말로도 부족할 지경이다.

어렵사리 만난 두 사람의 지난 회동이 당초 기대와 달리 서로의 간극만 확인한 채 무위로 끝난 것이 무엇보다 아쉽다. 특히 윤 대통령이 김 여사 관련 요구안을 거부한 것은 아무런 위기의식도 해결 의지도 없음을 증명한다는 점에서 대단히 유감스럽다. 게다가 두 사람 대화의 내용을 떠나서 한 대표는 여러 정황상 거의 수모에 가까운 대접을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윤 대통령이 작정하고 그런 자리를 만든 것이라면 실로 유치한 행동이 아닐 수 없다. 이튿날 부산에서는 “돌을 던져도 맞고 가겠다”며 국정 책임자 발언으로는 차마 믿기지 않는 말까지 했다. 커지는 국민적 공분에도 아랑곳없이 독불장군식 고집을 풀 생각이 없는 듯하다.

한 대표가 김 여사 관련 조치의 데드라인을 제시하며 대통령 압박에 나선 것은 더 이상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 그러니까 정면 돌파의 길을 선택했다는 의미로 읽힌다. 한 대표는 국민의힘 확대당직자 회의에서 “이 대표의 재판 결과들이 11월 15일부터 나온다. 그때 우리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겠냐”고 했다. 김 여사 관련 요구를 적극적으로 해소해야 한다는 뜻인데, 이는 국민 대부분이 지지하는 부분인 게 사실이다. 대통령 가족 등의 비위 행위를 감찰하기 위한 특별감찰관의 추천 절차를 진행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역시 윤 대통령의 의사에 반하는 일이라 여권 내부에서 전면전이 불가피하다.

향후 당정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게 됐다.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답답한 심사는 이루 다 말하기 힘든 상황이다. 현실 인식의 틀을 전혀 바꾸지 않는 대통령의 오기가 답답함의 가장 큰 원인이다. 지난 2년 동안의 국정 실패를 자인하고 여야는 물론 민심의 여론을 청취하는 데서부터 문제 해결의 출발점을 삼는 게 순리다. 한 대표 역시 언론 플레이 같은 압박 방식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 대통령의 소극적 소통에 대한 어쩔 수 없는 대응이겠으나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향은 아니다. 국정은 갈수록 표류하고 국민은 더 큰 해악에 직면해 있다. 민심의 인내가 한계점을 향해 가고 있음을 대통령도 집권여당도 직시해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