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창원지검,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 ‘키맨’ 명태균 ‘뒷북’ 수사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핵심 인물 수사 소홀 속속 드러나
명 씨 컴퓨터 최근까지 존재 증언
뒤늦은 압수수색에 증거 못 찾아
김 여사 관련 통화 파일도 미확인
수사팀 보강·형사부 재배당 등 혼선

‘명태균 게이트’를 폭로한 강혜경 씨가 지난 23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지검에서 조사를 앞두고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명태균 게이트’를 폭로한 강혜경 씨가 지난 23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지검에서 조사를 앞두고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 씨 주변을 캐고 있는 검찰의 ‘뒷북 수사’ 정황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검찰이 압수수색을 하기 전 명 씨가 불법 여론조사에 사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컴퓨터를 이미 빼돌렸다는 증언이 나왔다. 검찰은 사건 접수 반년을 훨씬 넘겨 본격적으로 수사팀을 꾸린데다 뒤늦게 팔방으로 압수수색을 펼치고 있지만 핵심 증거를 확보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27일 〈부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창원지검 형사4부(부장검사 김호경)는 지난 25일 오전 9시께 사실상 명 씨가 운영한 것으로 알려진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의 명의상 대표인 김 모 씨 자택에 검사 1명과 수사관 3~4명을 보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미래한국연구소는 윤석열 대통령 후보 시절 맞춤형 여론조사를 실시한 의혹을 받는 곳이다. 그 대가로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의창 지역구 국민의힘 공천을 받았고 이 과정에서 김건희 여사가 개입돼 있다는 게 이번 의혹의 골자다.

김 씨는 “언젠가 한 번 압수수색을 당할 거라고 생각했다”면서 “저는 숨길 게 없어 전에 쓰던 휴대폰과 지금 사용 중인 휴대폰까지 2대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김 씨를 압수수색하기 전인 이달 초중순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의 한 공인중개사무소도 압수수색했다. 이 사무소에는 미래한국연구소의 짐이 보관돼 있었다. 김 씨에 따르면 지난해 7월께 명 씨 지시로 미래한국연구소 짐을 해당 공인중개사무소로 옮겨 뒀다고 한다.

김 씨는 공인중개사무소에 명 씨가 사용하던 데스크톱 등 컴퓨터 2대가 있었으며, 이 컴퓨터는 과거 명 씨 등이 미래한국연구소에서 사용하던 기기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검찰의 압수수색 한 달 전쯤 명 씨와 가까운 사람이 공인중개사무소에 있던 짐을 옮긴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이 짐을 어디다 빼돌렸는진 확인되지 않는다.

검찰은 이번 의혹과 관련 뒷북 수사 논란에 휩싸여 있는 상태다. 지난해 12월 경남도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고발장을 접수한 창원지검은 조직도상 사무국 산하에 소속 검사 없이, 수사관으로만 이뤄진 ‘수사과’에 이 사건을 배당했다. 그러다 강혜경 씨의 폭로로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이 수면 위로 떠오르자, 지난달 초 공안 사건을 수사하는 형사4부로 뒤늦게 재배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명 씨와 김 전 의원은 참고인 신분에서 피의자로 전환됐고 검찰은 지난달 30일 뒤늦게 이들의 휴대전화·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다만 명 씨 휴대전화는 압수 당일 돌려줬다. 사실상 ‘깡통폰’이었기 때문이다.

명 씨는 검찰 압수수색 열흘쯤 전에 이미 휴대전화를 교체했다고 한다. 올해 초 정치자금법 위반 기사가 언론에 보도될 시점에도 휴대전화를 바꿨던 것으로 나타났다. 명 씨가 압수수색을 대비해 수개월 사이 2차례 이상 휴대전화를 바꿨다는 게 중론이다.

이와 함께 강 씨가 지난 5월 명 씨, 김 전 의원과의 통화 녹취 등 4000여 개 파일을 증거자료로 검찰에 제출했으나 수사과에선 사실관계 확인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 9개월간 검찰이 수사과에 사건을 방치하고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