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등 외지인, 서울 아파트 원정 매입 감소…집값올라 부담 커져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올해 1~10월 매입 비중 22.7%
지난해 24.6%보다 2%P 감소
정비사업 호재 성동구 비중 올라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잠실 일대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잠실 일대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올해 지방 등 다른 시도 거주자의 서울 아파트 원정 매입 비중이 작년보다 감소했다.

서울 집값이 크게 올라 가격 부담이 커지고, 지방은 집값 하락이 3년째 이어지며 전반적인 투자 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2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서울 거주자 외 다른 시도 주민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2.7%였다. 이는 지난해 24.6%에 비해 약 2%포인트가량 감소한 것이다.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18년 처음 20%를 넘은 뒤 지난해 24.6%로, 통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021∼2022년 집값 하락 후 상대적 안전 자산인 서울 아파트로 매수세가 몰린 데다 ‘똘똘한 한 채’ 열풍이 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들어 서울 아파트 가격이 계속 오르고 일부에선 신고가를 경신하는 단지들이 나타나자 가격부담에 외지인의 투자도 주춤해진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외지인은 서울외 다른 시도 사람들이어서 지방뿐만 아니라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도 포함된다.

서울의 강남3구를 봐도 △강남구 23.6%→23.1% △서초구 23.4%→21.8% △송파구 29.2%→26.0%로 모두 비중이 감소했다.

마포구도 지난해 30.6%였으나 올해는 25.4%로 뚝 떨어졌다. 중저가 단지가 몰린 노원구와 , 도봉구, 강북구 등도 외지인 매입 비중이 작년보다 줄었다.

다만 재개발 등 정비사업 호재로 올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을 견인한 성동구는 외지인 매입 비중이 25.5%로 지난해(23.9%)보다 높았다. 올해 10월까지 성동구 아파트값 누적 상승률은 9%로, 서울 평균(4.31%)의 2배를 웃돌았다.

이와 함께 서울 거주자의 지방 등 타지역 아파트 매수 비중은 올해 10월까지 5.3%를 차지해 작년(5.2%) 수준을 유지했다. 공급 과잉, 수요 감소로 아파트값이 3년 연속 하락 중인 지방에 투자할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