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부산이 키운 에어부산, 인천공항에 내줄 수 없다”
지역 단체, 2일 부산시의회 기자회견
부산 시민사회가 지역 거점 항공사 존치를 위해 정부와 부산시의 결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2일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과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등 부산 시민단체는 오전 11시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에어부산은 2007년 부산이 만들고 지난 17년간 부산 시민의 사랑을 받으며 지역이 애지중지 키워온 향토기업이자 지역 유일 항공사”라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기업 결합으로 인해 에어부산이 인천으로 끌려간다면 시민 상실감과 박탈감은 상당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에어부산을 인천공항에 내주게 되면 현재 진행 중인 가덕도신공항의 성공적 건설은 차질이 불가피하며, 지역 거점 항공사로서의 정체성이 상실되고 지역 성장 동력의 버튼이 꺼지면서 지역경제도 후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시의 소극적인 대응도 비판했다. 이 자리에서 시민단체는 “부산시가 적극 대응은커녕 물 건너간 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를 들먹이며 상공계와 시민들과 엇박자를 내고 있다”며 “해외 당국 승인 후 대한항공이 산업은행에 제출할 ‘인수 후 통합 계획서’에 지역 항공사 존치, 에어부산 분리매각을 반드시 포함시키는 데 사활을 걸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달 28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을 최종 승인함에 따라 대한항공 계열의 진에어가 아시아나 항공 계열의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을 흡수해 메가 LCC로 몸집을 불리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부산 상공계와 시민단체는 지역 거점 항공사 부재를 우려하고 있다. 특히 2029년 개항을 목표로 하는 가덕신공항 운영에도 차질을 빚게 될 상황이라 지역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이지후 상임대표는 “부산시는 지금이라도 지역 상공계와 협력 테이블을 마련하고 정부에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