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폐기물에 몸살 앓은 창원, 처리 거점시설 만든다
재활용률 낮은 단독주택가 대상
거리 악취 해결, 주거환경 개선
경남 창원시가 쓰레기 분리 배출이 불편한 단독주택가에 생활폐기물 거점수거시설을 만들 예정이다. 최근 환경공무직 투쟁으로 ‘쓰레기 대란’을 겪은 후 시의회에서 재활용률을 높이고자 이 같은 사업을 제안했다.
6일 창원시의회에 따르면 이달 초 박해정 시의원 명의로 ‘창원시 생활폐기물 거점수거시설 설치 지원 조례안’이 대표 발의됐다. 상대적으로 생활폐기물 재활용률이 낮은 단독주택지역에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수거함 등을 설치하는 게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단독주택지역엔 재활용할 수 있는 쓰레기(폐기물)를 품목·재질별로 분류하지 않고 투명한 비닐봉지에 혼합 배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비교해 선별률이 낮고 재활용률도 떨어진다.
이번 조례안을 통해 생활폐기물 거점수거시설이 설치되면 플라스틱·종이·비닐·투명 페트병 등을 분리 배출하기 편해져 재활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 주민들이 시간 제약 없이 수시로 수거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돼 악취·위생 문제도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임위원회를 통과한 조례안은 오는 20일 제139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향후 사업 추진 시 쓰레기 수거시설 설치를 원하는 주민은 신청서를 작성해 시에 제출하면 된다.
박 의원은 “기후위기 시대에 재활용 등 자원의 재순환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조례 재정을 통해 주민의 주거환경 개선과 배출 불편 해소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여름 창원시 의창구·성산구 주민은 ‘쓰레기 대란’으로 불편을 겪어야 했다. 해당 지역 재활용 쓰레기 수거와 거리 청소 등을 담당하는 환경공무직 130여 명이 시와 임단협 과정에서 이견을 보이며 집단 연차와 태업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해당 지역엔 경남 최대 상업지역인 상남상업지구가 있는 데다 주택가도 많아 하루 평균 48t의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된다. 당시 환경공무직들은 정확하게 분리 배출되지 않은 재활용 쓰레기는 수거 자체를 거부, 주민과 관광객들이 악취에 시달리기도 했다.
환경공무직들은 재활용 쓰레기를 수집·운반하는 민간업체 근로자들이 건설 노임 단가의 70%를 받다가 올 1월부터 100%를 적용받게 되자, 자신들도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거론하며 임금 30%를 인상을 주장했다. 시와 환경공무직 노조는 20여 차례에 교섭을 거쳐 79일 만에 합의안을 도출했다. 애초 경남도 단체교섭 기준에 따라 시가 제시했던 2.5% 인상으로 최종 타결됐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