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공산’ 시리아, 눈독 들이는 튀르키예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권 뒤 봐주던 이란·러시아
이스라엘·우크라에 발목 잡혀
반군 지원한 튀르키예 ‘군침’

8일 시리아 반군이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을 축출했다고 발표한 후 시리아계 미국인과 지지자들이 이를 축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8일 시리아 반군이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을 축출했다고 발표한 후 시리아계 미국인과 지지자들이 이를 축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외세의 개입 속에 난마처럼 얽혀 있던 시리아 내전이 종식 문턱에 다가서면서 관련국들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24년간 철권을 휘둘러 온 독재자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은 8일(현지 시간) 해외로 도주했고, 시리아 반군은 수도 다마스쿠스를 접수하고 권력을 이양받을 준비를 하고 있다. 지중해와 아프리카로 이어지는 지정학적 중요성에 더해 중동 내 민족·종파 갈등의 중심지라는 측면까지 고려하면 향후 수립될 시리아 새 정부가 어떤 노선을 택하느냐에 따라 주변 열강들은 희비가 엇갈릴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현 상황으로 가장 난감한 입장에 처한 국가로는 이란이 꼽힌다. 이란은 2011년 시리아 내전이 처음 발발했을 때부터 시아파 연대인 알아사드 정권을 물심양면 지원해 왔다. 숙적인 이스라엘을 견제하기 위한 무력 투사에 중요한 통로로 활용한 것이다.

하지만 이란은 작년 10월부터 진행 중인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전쟁에 관여했다가 심각한 타격을 입고 시리아 상황에 개입할 여력을 상실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란에 남은 선택지는 곧 취임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협상을 진행하거나, 마지막 자위 수단인 핵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란과 함께 알아사드 정권의 가장 강력한 후원자로 역할을 해 왔던 러시아 역시 시리아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국가로 거론된다. 러시아 해군기지가 있는 시리아 타르투스는 러시아군이 지중해로 진출할 수 있는 유일한 항구다.

하지만 미국은 13년 전 ‘아랍의 봄’을 타고 무아마르 카다피 독재정권이 무너진 리비아에서 다시 내전이 발발, 불량국가로 전락한 상황이 재연될 수도 있다며 긴장을 늦추지 않는 모양새다.

미국은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의 준동을 억제한다는 명분으로 시리아 동부에 900명 규모의 병력을 배치해 놓고 있고, 이라크·요르단 국경과 가까운 유프라테스강 동쪽의 온건성향 아랍계와 쿠르드족 민병대에도 장비와 훈련 등을 제공해 왔다.

그 사이 HTS를 비롯한 친(親)튀르키예 성향 반군조직들의 승리로 시리아 내전이 사실상 마무리되자 튀르키예는 반색하는 분위기다.

중동의 주도권을 두고 협력·경쟁했던 이란에 대해 우위를 점하게 됐고, 자국에서 수용 중인 수백만 명의 시리아 난민을 송환할 계기도 마련했다.

튀르키예 내 쿠르드족의 분리독립 움직임으로 인한 안보불안도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튀르키예는 시리아 북부를 장악한 쿠르드족 민병대가 자국 내 분리주의 성향 쿠르드족과 손을 잡고 독립을 시도하는 시나리오를 우려해 왔다. 그러나 이번에 승리한 반군조직들은 쿠르드족의 분리독립을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